中 외교부 “불법 구금·납치 즉시 신고” 지침
“온라인 도박·사기 가담자 처벌받을 것” 명시
3년 후 한국인 피해로 경고 현실화

중국 외교부는 2022년 캄보디아 내 고수익 채용을 미끼로 한 인신매매·사기 위험을 경고했다.  /중국 외교부 정부 서비스 플랫폼 캡처
중국 외교부는 2022년 캄보디아 내 고수익 채용을 미끼로 한 인신매매·사기 위험을 경고했다.  /중국 외교부 정부 서비스 플랫폼 캡처

중국 정부가 이미 2022년, 캄보디아 내 외국인 인신매매와 온라인 사기 조직의 확산을 경고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당시 중국 외교부는 “고수익 일자리 광고를 믿지 말라”며 캄보디아 내 불법 감금·납치 위험을 공식적으로 경고했다.

2022년 7월 4일, 중국 외교부와 주캄보디아 중국대사관은 공동 명의로 ‘캄보디아 내 중국인 안전 유의 공지’를 발표했다. 공지는 △정규 절차에 따른 출국 △온라인 도박 및 전화사기 가담 금지 △불법 감금 시 즉시 신고를 핵심 내용으로 담았다.

당시 외교부는 “온라인 도박·전자사기 조직이 고액 연봉을 내세워 중국인 인력 모집을 가장하고 있다”며 “캄보디아로의 불법 입국은 범죄 조직에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또 “인신매매·감금·폭행 등의 피해를 당하면 즉시 현지 경찰에 신고하고 대사관에 연락하라”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캄보디아 정부가 이미 온라인 도박을 전면 금지했으며 양국 공조 수사를 통해 ‘중국인 관련 불법행위’를 집중 단속 중이라고 명시했다.

동시에 불법 사기·도박 조직 종사자에게 자수를 권고하며 “범죄 사실을 신고할 경우 법에 따라 선처할 수 있다”고 밝혔다.

3년 전 중국인 피해자들이 당했던 ‘고소득 채용 미끼 → 여권 압수 → 강제 사기 동원’의 흐름이, 3년 뒤 한국인 피해에서도 그대로 반복됐다.

중국은 당시 자국민을 대상으로 경고를 발령했지만 캄보디아 내 인신매매·사기 단지는 이후에도 해체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2025년 한국인 납치 사건은 3년 전 경고가 현실화된 사례로 평가된다.

여성경제신문 김현우 기자 hyunoo9372@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