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서 MBK 책임론 부각
홈플러스, M&A 지연·현금난
10만명 일자리 위기 전망

유통업계 최대 화두인 홈플러스 사태가 이번 국정감사에서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홈플러스 공동 대표뿐만 아니라 대주주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까지 오는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대거 증인으로 채택되며 긴장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최근 공개 경쟁 입찰에 나선 홈플러스는 마땅한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수십만명의 일자리와 국가 경제까지 뒤흔들릴 수 있어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의 책임론이 주요 쟁점으로 거론될 전망이다.
13일 국회 및 유통업계에 따르면 오는 14일 열리는 정무위의 공정거래위원회 등 국감에서는 김광일·조주연 홈플러스 공동 대표이사가 증인으로 참석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한 질의를 받을 예정이다.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과 윤종하 부회장도 증인으로 채택됐다. 유동성 위기로 지난 3월 기업회생절차를 개시한 홈플러스가 7개월 넘게 새 주인을 찾지 못해 점포 폐점 위기에 처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김병주 회장은 이번 국감과 관련해 현재까지 불출석 사유서를 내지 않은 상태다. 앞서 김 회장은 지난 3월 정무위가 개최한 홈플러스 관련 현안 질의에는 "투자가 완료된 개별 포트폴리오 회사(홈플러스)의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며 불출석한 바 있다. 하지만 홈플러스 사태 해결이 국민적 관심으로 커진 상황에서 MBK 책임론도 대두되고 있어 이번 국감 참석을 피할 수 없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홈플러스는 임대료 조정이 이뤄지지 않은 전국 15개 점포에 대해 오는 11월 폐점하겠다고 발표했다가 보류했다. 김 회장은 지난달 19일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와 만나 매수 협상이 진행 중이라며 "15개 점포, 나머지 다른 점포에 대해 매수자가 결정될 때까지 폐점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홈플러스는 지난 2일 우선 협상 대상자를 찾아 조건부 인수계약을 체결한 뒤 공개입찰에 부치는 '스토킹 호스' 방식으로 M&A(인수합병)을 추진해오는 것을 포기하고, 공개경쟁 입찰 공고를 내면서 '국감 회피용 기만' 의혹까지 제기됐다.
홈플러스 및 매각 주간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조건부 인수계약으로 진전이 이뤄지지 않자 공개입찰로 전환했다. 홈플러스는 오는 31일까지 인수의향서 및 비밀 유지 확약서를 접수하고 다음 달 26일 최종 입찰서를 받는다.
홈플러스 인수 후보는 아직까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상황이다. 국내 유통기업들 중에선 홈플러스 인수에 관심이 없다고 모두 선을 긋고 있다. 국내 쇼핑시장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중심으로 무게 중심이 넘어갔고, 대형마트 건물 인수 시 용도 변경이 어려운 점 등도 인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다음 달 말까지 적절한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전국 123개 대형마트와 300여 개 홈플러스 익스프레스의 정상 영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거래처의 납품대금 회수 불안으로 인해 거래 조건이 강화되면서 약 2500억원 규모의 추가 자금이 필요하고, 밀린 임대료와 연체된 전기세, 3대 보험료 부담까지 겹쳐 현금 사정이 극도로 악화된 상태다. 이로 인해 납품 물량 감소와 매출 20% 이상 감소가 발생했으며, 임금 체불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홈플러스 측은 "인가 전 M&A가 진행되는 지금은 10만명의 일자리와 국가 경제를 지킬 수 있는 중요한 순간"이라며 "왜 이런 상황까지 왔는가가 아닌 어떻게 하면 홈플러스를 살릴 수 있는가에 집중해야 할 때다. 정부가 공익 채권에 대한 신뢰를 보장해주고, 거래처들이 납품 물량을 정상화한 상태에서 인수자를 찾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앞서 MBK파트너스는 사회적 책임을 지지 못했다며 사과하고, 홈플러스에 2000억원을 추가 투입, 또한 증여·연대 보증 등을 통해 3000억원을 지원했다고 밝혀 총 50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실제 현금 투입 규모가 불확실하고, 기존 3000억원 지원도 상당 부분이 대출 보증이라 실질적 수혈 효과가 크지 않다”며 이행 시기와 방법 등 구체성도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는 "홈플러스를 살리기 위해서는 선량한 인수자를 찾아 M&A가 이뤄져야 한다"며 "MBK는 10년간의 방치로 인한 기업가치 하락 책임을 인정하고 인수 가격 조정을 위한 자구노력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한다.
정무위 국감이 열리는 14일 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와 홈플러스 입점점주협의회, 금융정의연대가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정무위 국정감사, 홈플러스 정상화대책 촉구 기자회견’을 공동 개최한다.
비대위와 점주협의회는 “홈플러스 회생신청 사태로 인해 직접 타격을 입은 피해 당사자들이다”며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한 유동화전단채(ABSTB)피해자와 회생사태로 인한 파행 때문에 피해를 입고 있는 입점 점주들은 불안하고 답답한 시간을 보내고 있으나, 홈플러스의 거짓과 기만에 속수무책으로 당해왔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홈플러스와 MBK는 국민여론을 호도하는 방식으로 해법 요구를 회피하거나 미온적으로 대처해왔다”며 “이번 국정감사에서는 그동안 제기된 의혹과 드러난 문제에 대한 명쾌한 질의와 해명이 이루어지고 국민이 보는 앞에서 MBK와 홈플러스의 잘못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질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이번 국감에서 홈플러스 사태뿐 아니라 MBK파트너스가 대주주인 롯데카드 대규모 해킹 사태에 대한 질의도 함께 받을 전망이다.
여성경제신문 류빈 기자 rba@seoulmedia.co.kr
관련기사
- ‘홈플러스·쿠팡·배민’ 유통 총수 국감 줄소환···“망신주기식 지양해야”
- [르포] "고별세일 준비했는데"···홈플러스 폐점 보류에 점주 '혼란만 가중'
- ‘대형마트 2위’ 홈플러스 줄폐점 ‘직격탄’···33만명 실업·10조 손실 우려
- "15개 점포 폐점·무급휴직"···홈플러스 '긴급 생존경영 체제' 돌입
- 홈플러스 직원·협력업체, 조기 회생 촉구 호소문 대통령실에 제출
- [국감] 문체부 'K-컬처 300조원 시대' 외치지만···사라지지 않는 '화무십일홍' 우려
- [국감] 궁지 몰린 롯데카드 조좌진·MBK 김병주···"해킹 책임 회피" 질타
- “포스트 추석 노린다”···연휴 끝난 유통가, ‘보상·리셋 소비’로 매출 반등 모색
- 국감장 등장한 MBK 김병주 "홈플 내 권한 아냐"···‘먹튀 논란’ 공정위 제재 예고
- "가성비 식품·캐시미어 니트까지 판다"···초저가 PB 승부 거는 편의점
- 국내 유통 총수들 APEC 집결···K-푸드·뷰티 글로벌 경쟁력 한자리서 논의
- 홈플러스 인수전, AI 기업 등 2곳 참여···"영업 정상화 총력"
- [기자수첩] 대형마트 역성장 10년의 기록···오프라인만 멈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