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정규장 '8시 개장' 추진
거래시간 단계적 확대 구상했지만
노조·중소형 증권사 반대에 지연

한국거래소의 주식 거래시간 확대 논의가 노조의 반대와 증권사 간 이해관계 충돌로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다.
거래소는 정규장(오전 9시~오후 3시 30분)을 최대 12시간으로 늘리는 방안 등을 검토했지만, 회원사 간 견해차가 커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체거래소(ATS) 넥스트레이드보다 1시간 빠른 '7시 프리마켓' 도입안을 검토했으나 노조의 반발로 논의가 지연되고 있다.
주요 해외 증시가 이미 사실상 24시간 거래 체제로 전환 중인 가운데, 국내 시장이 여전히 논의 단계에만 머물 경우 해외 자금 유입과 글로벌 경쟁력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이 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거래시간 연장 설문조사' 자료에 따르면 거래소는 지난 7월 29일 회원사를 대상으로 △정규장 조기화(8:00∼15:30) △프리(08:00∼08:30)·애프터(15:40∼20:00)(호가이전) △프리·애프터(호가미이전) 등 3가지 안을 놓고 설문을 실시했다.
응답 결과 '정규장 조기화(8시 개장)' 안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해당 안에 대형 증권사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반면 중소형 증권사들은 전산·운용 인력의 근무시간 조정과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에 따른 비용 증가를 이유로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거래소는 이에 현실적인 대안으로 거래시간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구상을 마련했다. 1단계로 오전 7시부터 8시까지 프리마켓을 신설하고, 2단계에서는 정규장·프리·애프터마켓을 통합하는 '연속매매 보드' 전환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노조가 근로환경 악화를 이유로 거래시간 확대에 전면 반대 입장을 고수하면서 논의는 사실상 중단된 상황이다.
여성경제신문 서은정 기자 sej@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