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40년물 금리 1.37%p로 확정돼
오픈AI, 소프트뱅크와 데이터 센터 건설
클라우드 인프라 매출 33억5000만 달러
"향후 4년 매출 꾸준히 증가할 것" 전망

오라클 건물 전경. /오라클(ORACLE) 페이스북 캡처
오라클 건물 전경. /오라클(ORACLE) 페이스북 캡처

미국 데이터베이스 인프라 기업 오라클이 급성장 중인 클라우드 인프라 부문 강화를 위해 180억 달러(약 25조원) 규모의 채권 발행에 나섰다. 올해 미국 기업 투자 등급 회사채 중 두 번째로 큰 규모로 시장 수요가 몰리면서 금리는 예상보다 낮게 결정됐다. 

25일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오라클은 40년 만기 채권을 포함해 총 6종류의 회사채를 발행했다. 40년물 금리는 같은 만기의 미 국채 대비 1.37%포인트 높은 수준으로 당초 논의됐던 1.65%포인트보다 낮게 확정됐다. 채권 매입 수요는 880억 달러에 달해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오라클은 최근 오픈AI, 메타플랫폼과 대규모 클라우드 인프라 계약을 체결했다. 특히 지난 10일 오픈AI에 5년간 약 3000억 달러(416조원) 규모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공급하기로 했다. 

올해 초에는 오픈AI·소프트뱅크와 함께 미국 내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한 4년간 5000억 달러 투자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도 발표했다. 현재 텍사스주 애빌린에서 첫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며 텍사스·뉴멕시코·오하이오 등으로 거점을 확대하고 있다.

실적은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6회계연도 1분기(6~8월) 매출은 14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클라우드 인프라 매출은 33억5000만 달러로 55% 급증했다. '잔여이행의무(RPO)'는 4550억 달러로 1년 전보다 359% 늘었다. 

경영진 변화도 있었다. 오라클은 지난 22일 클레이 마구어크와 마이크 시실리아를 공동 최고경영자(CEO)로 선임해 클라우드 인프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오라클은 미중 협상 마무리 단계에 있는 틱톡 미국 내 사업에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새프라 캐츠 CEO는 "클라우드 인프라 매출이 올해 77% 늘어난 18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며 "향후 4년간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는 클라우드 시장 내 입지 강화와 신규 대형 프로젝트 수행이 투자 평가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