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 철수 불이행·횡령 사건 겹쳐 신뢰 추락
금융권 "신뢰 회복 없인 외형 확장 어려울 것"

OK저축은행을 보유한 OK금융그룹의 '종합금융그룹' 도약이 난항을 겪고 있다. /연합뉴스
OK저축은행을 보유한 OK금융그룹의 '종합금융그룹' 도약이 난항을 겪고 있다. /연합뉴스

OK금융그룹이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한 성장 전략에 잇따라 제동이 걸리고 있다. 저축은행 인수전이 연이어 무산된 데다, 주력 계열사 OK저축은행이 대부업 철수 약속 불이행으로 금융당국 제재를 받으면서 내홍을 겪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OK저축은행에 기관경고와 함께 3억72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OK저축은행이 과거 계열사 러시앤캐시 영업 양수도 인가를 받으면서 대부업 철수를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열사를 통해 대부업 영업을 지속한 사실이 적발된 데 따른 조치다. 금융사 제재 종류에는 등록·인가 취소, 영업정지, 시정명령, 기관경고, 기관주의 등이 있는데 기관경고부터는 중징계에 해당한다. 금융사가 기관경고를 받게 되면 1년 동안 금융당국의 허가가 필요한 신사업 진출이 어려워진다.

고객 자금 횡령 혐의도 드러났다. OK저축은행 모 지점 소속 직원 A 씨는 2021년 3월부터 10월까지 예적금 만기가 지난 장기 미연락 고객 6명의 예적금을 임의로 해지해 1억6900만원을 횡령했다. 다른 지점 소속 직원 B씨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지인 등 5명의 통장과 도장, 비밀번호를 직접 관리하며 이를 이용해 2억5300만원을 횡령한 사실도 확인됐다.

이 같은 악재 속에서 OK금융의 외형 확장 전략도 좌절됐다. 그룹은 상상인저축은행과 페퍼저축은행 인수를 추진했지만, 양측과의 협상이 최근 최종 결렬된 것으로 확인됐다. 두 차례 연속 인수 실패로 인수합병(M&A)를 통한 몸집 키우기 전략이 원점으로 돌아간 셈이다.

이런 배경 탓에 최윤 OK금융 회장의 구상은 난관에 부딪혔다. 최 회장은 지난해 "그룹의 모태가 된 대부업 철수를 계기로 OK금융은 임직원 모두가 꿈꾸고 바랐던 새로운 흐름에 올라섰다"며 "창립 이후 24년간 늘 그래왔던 것처럼 도전의 발길을 멈추지 않고 진정한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겠다"는 뜻을 표명한 바 있었다.

금융권에서는 OK금융이 성장 전략을 수정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증권·캐피탈·저축은행을 아우르는 종합금융그룹 구상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당국의 신뢰 회복과 내부통제 보완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추가적인 외연 확장은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OK금융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에 "저축은행 인수는 무산됐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업 포트폴리오를 넓혀 나가겠다는 그룹의 방향성에는 변함이 없다"고 했다.

여성경제신문 서은정 기자 sej@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