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무주택가구 비율 17개 시도 중 최고

국내 무주택 가구가 1000만 가구에 육박했으며,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무주택 가구는 961만8474가구로, 전체 가구(2207만 가구)의 43.6%에 달했다. 전년(954만1100가구)보다 7만7000 가구 늘어난 수치다.
무주택 가구는 가구원 누구도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가구로, 전세나 월세 거주 가구를 의미한다. 이 수치는 2020년 처음 900만을 넘어선 뒤 2년 만에 950만을 돌파했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506만804가구가 몰려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특히 경기가 238만2950가구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214만3249가구로 뒤를 이었다.
서울은 전체 가구(414만1659가구) 중 51.7%가 무주택으로,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50%를 넘었다. 서울의 무주택 비율은 2021년 51.2%, 2022년 51.4%에 이어 2023년에도 오르며 2년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서울과 지방의 집값 격차가 이러한 현상을 키웠다고 본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올 4월까지 서울 주택매매가는 16.1% 오른 반면, 같은 기간 비수도권은 1.7% 하락했다.
장기 추세로 보면 2002년부터 2021년까지 서울 집값 상승률은 419.42%로 전국 최고였다. 반면 서울의 주택구입물량지수는 2012년 32.5에서 2022년 3.0으로 10년 만에 10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는 중위소득 가구가 살 수 있는 아파트가 100채 중 3채에 불과하다는 의미다.
정부는 2024년 6월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규제를 도입했지만, 내 집 마련을 계획한 실수요자들이 피해를 봤다는 지적이 나왔다. 높은 집값은 전·월세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을 키우고 있다.
임대소득 격차도 뚜렷하다. 2023년 전국 1인당 부동산 임대소득은 1774만 원으로 전년보다 0.3% 올랐으나, 서울은 2408만 원에서 2456만 원으로 2.0% 증가했다. 1인당 임대소득이 2000만원을 넘는 지역은 서울뿐이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서울에서는 소득·자산 증가보다 집값 상승 속도가 빨라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월세 부담까지 커지면서 전반적인 주거비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류빈 기자 rba@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