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형 근로 확대 및 어업 지원 본격화
언어 도우미 배정 인원, 수요 반영 지정

제주에서 근무 중인 베트남 국적 계절근로자 /연합뉴스
제주에서 근무 중인 베트남 국적 계절근로자 /연합뉴스

정부가 농어촌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2만2731명을 추가 배정한다. 이에 2025년 한 해 동안 배정된 계절근로자는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할 전망이다.

27일 법무부에 따르면 법무부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는 지난 24일 '외국인 계절근로자 배정심사협의회'를 열고 하반기 추가 배정 계획을 확정했다.

올해 배정되는 계절근로자는 총 9만5700명으로 지난해(6만7778명)보다 41% 증가한 규모다.

추가 인력은 상반기 배정 인원 외에 현장 수요가 집중된 농어촌 지역 100개 지방자치단체에 배치된다.

업종별로는 농업 분야에 1만7637명, 어업 분야에 5094명이 추가 배정된다. 전체 연간 배정 인원은 농업 8만6633명, 어업 8796명이다.

정부는 계절근로 확대뿐만 아니라 제도 개선에도 속도를 낸다. 농식품부는 하반기부터 지방비를 활용한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 운영을 허용하고 해수부는 해남군을 중심으로 김·굴 양식 어가 지원에 나선다. 공공형 계절근로제는 농수협이 외국인 근로자를 직접 고용해 일 단위로 농가에 노동력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언어 도우미' 배정 기준도 개선된다. 기존에는 국가별 100명 이상 동시 근로 시 1명만 배정됐으나 앞으로는 지자체 수요에 따라 언어별로 필요한 인원을 유연하게 배정할 수 있도록 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추가 배정으로 수확기 농어촌의 인력난 완화가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현장 맞춤형 제도 개선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여성경제신문 허아은 기자 ahgentum@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