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79.1조·영업익 6.6조로 1분기 선방
갤럭시S25 판매 호조, 전사 실적 견인
하만, 비수기 속 3조4000억 매출 기록
삼성전자, 하반기 ‘상저하고’ 흐름 전망

삼성전자가 반도체 부진에도 불구하고 갤럭시S25 시리즈와 고부가가치 가전제품 판매 호조가 실적을 견인하며 1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30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79조14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6조6853억원으로 1.2% 늘었다고 밝혔다. 직전 분기 대비 매출은 4.4% 증가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문별로는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매출 25조1000억원, 영업이익 1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서버용 D램 수요 확대와 낸드 가격 저점 인식으로 고객사들의 구매가 늘었지만 수출 통제 영향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 판매는 감소했다.
시스템LSI는 주요 고객사에 플래그십 시스템온칩(SoC)을 공급하지 못했지만 고화소 이미지센서 공급 확대로 실적이 소폭 개선됐다. 파운드리는 수요 부진과 고객사 재고 조정 가동률 정체로 실적이 감소했다.
디바이스경험(DX)부문은 매출 51조7000억원, 영업이익 4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모바일경험(MX)사업부는 갤럭시S25 시리즈 판매 확대와 부품 원가 하락, 리소스 효율화 등에 힘입어 두 자릿수 수익률을 확보했다.
TV를 담당하는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은 네오 QLED와 OLED TV 등 전략 제품 판매 확대와 원가 절감으로 수익성이 개선됐고 생활가전(DA) 부문도 고부가 제품 판매 비중이 증가하며 실적이 상승했다.
삼성전자 자회사 하만은 비수기 진입에도 매출 3조4000억원, 영업이익 3000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디스플레이(SDC)는 매출 5조9000억원, 영업이익 5000억원을 거뒀다. 중소형 패널은 계절적 비수기로 실적이 악화됐지만 대형 패널은 QD-OLED 신제품 효과로 개선됐다.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글로벌 무역 환경 악화와 경기 둔화로 실적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하반기에는 '상저하고' 흐름을 보일 것으로 기대했다.
DS부문의 경우 HBM3E 12단 제품을 통해 고부가 수요에 대응하고 시스템LSI는 플래그십 SoC 공급과 2억 화소 이미지센서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파운드리는 2나노 공정 안정화를 목표로 모바일·차량용 수요 대응에 나선다.
DX부문은 2분기 비수기로 스마트폰 수요 감소가 예상되지만 갤럭시S25 엣지 등 플래그십 제품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다. VD는 AI TV 신모델을 해외에 출시하고 생활가전은 AI 기반 신제품과 에어컨 성수기를 겨냥해 판매 확대에 나설 방침이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