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당 임금체계 개혁정책안 발표
"임금 총액은 유지, 보수 격차는 완화"
"중장년층 경륜 존중받는 구조 만들 것"

국민의힘이 6·3 대선을 앞두고 직무성과급 중심 임금체계 개편과 함께 정년 유연화, 계속고용제 도입을 추진한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국회에서 열린 당 비대위 회의에서 "성과에 정당한 보상이 따르고 실력과 노력이 연봉을 결정하는 사회가 공정한 대한민국의 시작"이라며 이 같은 내용의 당 임금체계 개혁정책안을 발표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인공지능(AI)을 비롯한 혁신 산업이 세계 판도를 바꾸는 시대임에도 우리 임금 시스템은 과거 산업화 시기에 머물러 있다"면서 "연공서열 임금체계의 낡은 틀 안에서는 청년의 창의도, 기업의 혁신도 꽃을 피우기 어렵고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도 보장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임금 총액은 유지하되 초임자와 높은 연차 간 보수 격차 완화, 성과와 책임이 연동되는 구조를 바꿔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며 "특히 능력 있는 젊은 인재에 실질적 기회를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국민의힘은 '정년 유연화'와 '계속 고용제' 도입 의지도 분명히 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지금은 일할 능력과 의지가 있어도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기계적 정년(60세)에 묶여 직장을 그만둬야 하고, 향후 65세까지 올라갈 연금 수령 시기와도 심각한 불일치 문제가 초래된다"며 "중장년층의 경륜이 계속 쓰일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금의 정년 체계를 그대로 두면 숙련 인력이 일터를 떠날 수밖에 없게 되고 정년과 연금 사이의 공백으로 국민의 노후가 불안해진다"며 "정년은 끝이 아니라 경험이 자산으로 전환되는 시작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민의힘은 정년 유연화와 계속 고용제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한 정책은 '주 4.5일 유연근무제'와 '주 52시간 근로제 폐지'에 이은 당의 두 번째 대선 노동 분야 공약이다. 권 비대위원장은 "청년에게는 더 많은 기회를, 중장년층에게는 합당한 존중을, 어르신에게는 생활 안정을 드리는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여성경제신문 서은정 기자 sej@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