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여가 1위 파크골프
규제 사각지대 속 무분별 확산
"노인복지인가, 포퓰리즘인가"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파크골프 열풍이 거세다. 2020년 4만 5000여명에 불과했던 파크골프 동호인은 지난해 18만 4000여명을 넘겼다. 동호회에 가입하지 않은 이용자까지 포함하면 약 3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짧은 플레이 시간, 간편한 장비, 저렴한 이용료. ‘부담 없이 즐기는 골프’라는 파크골프의 장점은 고령화가 심화된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액티브 시니어’의 새로운 여가문화로 자리 잡았다.
상조 업게도 이 흐름에 올라탔다. 대한파크골프연맹 15만 회원에게 맞춤형 상조 상품을 내놓기도 했다. 단순한 장례 서비스를 넘어 스포츠와 복지를 결합한 ‘경험형 상조’ 모델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A상조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고객이 서비스 가입 후 매월 일정 금액 지불해 장기간 동안 목돈을 마련해 놓고 그 목돈을 가지고 어떤 서비스를 누릴 것이냐를 선택하게 만드는 상조 상품 자체의 특성에 기인한다"면서도 "과거에는 장례 서비스만 있었다면 이제는 웨딩 상품, 크루즈 여행, 국내외 여행 상품 등 다양해지면서 이번에 파크골프와 같은 상품도 생긴 것"이라고 했다.
이어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가시적으로 나와 있지 않지만) 중장년층이 주로 즐기는 파크골프 종목 특성과 상조 주 고객층이 중장년층이라는 점이 맞물린다"며 "따라서 여기에 대한 니즈가 분명히 있을 거라고 판단했다. 예를 들어 상조에 가입하신 고객 중 이미 만기가 된 분들이 목돈을 가지고 파크 골프 여행을 갈 수도 있는 거다. (앞으로) 해외로 여행을 가거나 이런 식으로 상품을 만들어 보려고 계획하고 있는 단계"라고 했다.
지자체도 발 빠르게 반응하고 있다. 부산시는 최근 사회복지시설 3곳(몰운대·해운대종합사회복지관, 남구장애인복지관)에 ‘스크린파크골프장’을 조성하기로 했다. 각 시설당 약 1억원이 투입돼 여가 복지 공간으로 활용된다. 장애인과 노인, 아동은 물론 일반 시민도 이용 가능한 공간으로 확대해 지역 밀착형 복지모델로 삼겠다는 의도다.
하지만 인기의 급속한 확산에는 어김없이 그림자가 따른다. 가장 큰 문제는 ‘무분별한 공급’이다. 나라살림연구소에 따르면 전국 파크골프장은 올해 411곳으로 5년 새 약62% 가까이 늘었다. 특히 이 중 41.3%는 하천부지를 점용해 만들어졌는데 생태 훼손을 우려하는 환경단체들은 난개발 가능성을 경고한다.
김주성 환경보건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여성경제신문에 “하천 점용 허가가 2000~2010년까지 고작 5건에 불과했는데, 2021년 이후 135건으로 급증했다. 이는 환경영향평가를 우회한 개발로 볼 수 있어 제도적 보완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했다.
충북 청주시 구성리에 100홀 이상 규모의 대형 파크골프장을 건립하려는 계획은 지역 내 이미 4개 파크골프장이 있다는 점에서 ‘포퓰리즘 행정’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수요를 검증하지 않은 채 과잉 투자가 이뤄질 경우, 몇 년 안에 방치되거나 용도 변경을 고민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법적 공백도 문제다. 일부 지역에서는 무허가 파크골프장이 운영되고 있지만 지자체가 이를 단속하거나 규제할 수 있는 근거가 미비하다.
박주희 한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여성경제신문에 "파크골프는 분명 시대가 요구하는 ‘시니어형 스포츠 콘텐츠’다. 그러나 복지의 이름으로 확산될 때, 정책과 시장, 그리고 기업의 전략은 철저한 검증과 조율 아래 이뤄져야 한다"면서도 "당장의 인기와 수요만을 근거로 허가를 남발하고, 단기 성과에 매몰된 행정과 마케팅이 결합할 경우 파크골프는 또 하나의 사회적 낭비로 전락할 수 있다"고 했다.
여성경제신문 김현우 기자 hyunoo9372@seoulmedia.co.kr
여성경제신문 김정수 기자 essence@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