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장 확대, 반도체 주도권 경쟁 치열
대만·말레이시아 수출경합도 큰 증가폭
싱가포르 반도체 제조 거점으로 부상
코트라 "기술력 기반 점유율 확대해야"

인공지능(AI) 수요 확대에 따른 반도체 주도권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이런 글로벌 통상 환경 속에서 한국의 반도체 수출이 아세안 국가들의 거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인공지능(AI) 수요 확대에 따른 반도체 주도권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이런 글로벌 통상 환경 속에서 한국의 반도체 수출이 아세안 국가들의 거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인공지능(AI) 수요 확대에 따른 반도체 주도권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이런 글로벌 통상 환경 속에서 한국의 반도체 수출이 아세안 국가들의 거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16일 '10대 수출 품목의 글로벌 경쟁 동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2019년부터 올해 3분기까지 주요국의 수출경합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수출경합도는 양국의 수출 구조가 유사할수록 경쟁이 치열하다는 전제하에 특정 시장에서 양국 간 경쟁 강도를 평가하는 지표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한국과 수출경합도가 가장 높은 국가는 중국(72.2)으로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양국 간 치열한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2019년(75.3)과 비교하면 경합 지수는 3.1포인트 하락했다. 코트라는 "중국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을 빠르게 따라잡고 있으며 대만은 시스템 반도체 부문에서 앞서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대만과의 수출경합도는 32.5로 비교적 낮지만 4년 전보다 7.6포인트(p) 상승하며 주요 반도체 수출국 중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대만은 반도체 설계와 위탁생산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며 세계 3위 반도체 수출국으로 자리 잡았다.

코트라에 따르면 AI 반도체 산업을 주도하는 대만·미국과 중국 간 갈등 속에서 싱가포르가 반도체 제조 거점으로 부상하면서 한국과의 수출경합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 TSMC의 계열사 뱅가드 국제반도체그룹은 네덜란드 NXP와 함께 싱가포르에 78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웨이퍼 공장 건설을 발표했다. 미국 글로벌 파운드리는 지난해 싱가포르에 40억 달러 규모의 공장을 가동했으며 대만 유나이티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UMC)도 5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공장을 건설 중이다.

말레이시아 역시 주요 반도체 생산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세계 반도체 수출 5위 국가로 반도체 조립·테스트·패키징(ATP) 공정의 약 13%를 차지하며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페낭 지역은 활발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과 투자 유치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수출경합도는 올해 3분기 기준 50.5로 2019년 대비 6포인트 상승해 대만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한국이 내년 '수출 5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하는 만큼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기술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수출 중심 경제 구조를 가진 한국은 기술 차별성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대만과 중국 등 경쟁국에 시장 점유율을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코트라는 "첨단산업에서 기술력을 기반으로 수출시장 점유율을 확대해야 할 시점"이라며 "반도체는 자동차·부품 등과 함께 주요국 정부가 보조금 지급과 규제 완화를 통해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분야인 만큼 한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