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우리금융 트렌트 보고서
10명 중 6명 노후 준비 어려움

1970년대에 태어난 ‘X세대’는 가족 부양에 대한 책임감으로 인해 본인의 노후 준비를 소홀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우리금융그룹이 발간한 ‘2024 우리금융 트렌트 보고서’에 따르면 X세대 10명 중 6명은 아직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우리금융은 전국 만20~69세 1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X세대의 특징과 금융 생활을 조명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올해 첫 번째로 발간하는 이번 보고서는 △X세대의 경제력 △X세대의 일상 △X세대의 미래준비 등 세 가지 주제로 구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X세대의 월평균 소득은 624만원으로 80~94년에 태어난 세대인 ‘M세대(밀레니엄세대)’와 ‘베이비 붐’세대보다 100만원 이상 많았다. 소비액은 289만원으로 이는 밀레니엄세대보다 70만원, 베이비 붐세대보다 49만원 많은 수준이다. X세대의 대다수인 90%는 소비를 줄이려고 했으며 71%는 추가 소득 마련을 위해 노력했다고 응답했다.
X세대는 부모와 자녀에 대한 부양 부담으로 본인 노후는 챙기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가족에 대한 경제적 지원 여부를 묻는 말에 ‘부모와 자녀를 모두 지원한다’는 응답은 X세대가 43%로 M세대(23%), 베이비 붐세대(22%)에 비해 가장 높았다.
반면 ‘부모와 자녀를 모두 지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5%로 M세대(29%), 베이비 붐세대(40%)에 비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X세대 10명 중 6명은 아직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자산 증여에 대해서는 ‘자녀가 미성년자일 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X세대는 19%로 베이비 붐세대 9%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자녀 명의 금융상품 저축률도 X세대 47%, 베이비 붐세대 20%로 2.4배 높았다.
한편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우리금융지주가 발간하는 첫 번째 금융트렌드 보고서로 X세대를 비롯한 전 세대가 서로를 공감하고 미래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우리금융그룹은 ‘우리 마음속 첫 번째 금융’이 되어 고객님께 유익한 정보를 드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