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10억원 이상 3759명
여타 금융권 대비 잠잠했던 해
정무위, 관련 발의 경험자 없어

국내에 가상자산을 10억 이상 보유한 사람이 40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에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가상자산(암호화폐) 분야 증인이 한 명도 채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와 빗썸이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에 제출한 '가상자산 보유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10억원이 넘는 가상자산 계좌를 보유한 개인은 3759명이었다. 이중 40대가 1297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937명). 50대(930명), 60대 이상(410명), 20대(185) 순으로 뒤따랐다.
반면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에서 가상자산 분야 증인은 한 명도 채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는 다음 주 국정감사를 앞두고 있다. 올해는 '가상자산 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된 첫 해지만 소관 위원회인 정무위원회의 관심이 이전에 비해 크게 떨어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가상자산 관련 증인이 포함되지 않은 것은 올해 은행권 등 여타 금융권에 비해 코인 시장이 상대적으로 '잠잠'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은행권의 고액 횡령 및 부당대출 의혹이 드러났고 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가 발생했으며 영풍과 MBK파트너스의 고려아연 공개주식매수 등도 논란이 되고 있다. 한편 코인 시장에서는 크게 논란이 될 만한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
정무위에 '가상자산 전문가'가 없는 점도 가상자산에 대한 국회의 관심을 줄어들게 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국회에서 '디지털자산 거래 법안'을 발의했던 민병덕 민주당 의원을 제외하고 정무위에 가상자산 관련 법안 발의 경험이 있는 의원은 전무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