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정수석 신설, 김주현 前 법무차관 임명
민심 정보 수집에 있어 법률가 역할 강조

윤석열 대통령이 7일 민정수석실을 신설하면서 "사법 리스크가 있다면, 저에 대해 제기된 게 있다면 제가 풀어야지 민정수석이 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 청사 1층 브리핑룸에서 "(민정수석실은) 국민을 위해 설치한다"며 직제 개편 및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김주현(63·사법연수원 18기) 신임 민정수석과 함께 입장한 윤 대통령은 '사정기관 장악과 사법리스크 대응' 목적이라는 더불어민주당 지적을 일축했다.
'민정수석실을 폐지했다가 부활하겠다고 판단한 계기'에 대한 질문에 대해선 법률가 역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아무래도 민심 청취 기능이 너무 취약했다"며 "지난번 이재명 대표와 회담 때도 민심 청취 기능을 지적하면서 일선 민심이 대통령께 전달이 잘 안 되는 거 같다고 해서 민정수석실 복원을 이야기한 바 있다"고 했다.
또한 "언론사설부터 주변 조언 등을 많이 받았다"며 "모든 정권에서 그 기능을 둔 이유가 있어서 한 건데 (현 정부에서) 민정 업무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고 해서 저도 고심했고 복원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고도 덧붙였다.
이날부로 대통령실은 기존 3실장(비서실·정책실·국가안보실)·6수석(정무·홍보·시민사회·경제·사회·과학기술)체제에서 ‘3실장·7수석’체제로 확대됐다. 윤 대통령 브리핑 후 질의 응답에 나선 김주현 수석은 "민정비서관실을 새롭게 만들어 민심청취 기능을 맡을 것"이라며 "공직기강 법률비서관실을 이관받아 업무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수석은 법무부와 검찰의 요직을 두루 거친 검사 출신이다.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제28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1989년 서울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했다. 사법연수원 18기로 박성재(17기) 법무부 장관보다는 한 기수 후배, 이원석 검찰총장(27기)보다는 아홉 기수 선배다. 윤 대통령(63·사법연수원 23기)과는 동갑내기지만 사법시험 5년 선배다.
법무부 검찰과장,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장, 법무부 대변인,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 법무부 기획조정실장, 법무부 검찰국장 등 핵심 보직을 두루 거치며 법무 행정과 특별 수사, 공보 업무를 폭넓게 경험했다. 박근혜 정부 때 법무차관과 대검 차장을 지낸 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자 퇴직해 김앤장 등에서 변호사로 활동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