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경기도 31개 시·군 중 노인 가장 많아
재가급여 비율 도비10·시비90···시·군 부담 커

보행자 신호등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연합뉴스
보행자 신호등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연합뉴스

노인인구 17만여명에 달하는 고양시는 올해 장기 요양보험 예산으로 시설급여 164억원, 재가급여 173억원 등 총 337억원을 의료급여 예산으로 부담하고 있다. 고양시 65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10월 기준 17만334명으로 경기도 31개 시군 중 가장 많다.

13일 고양시는 정부와 경기도의 예산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이날 밝혔다. 고양시의 경우 재정자립도가 낮아 복지 수요 증가에 대한 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경기도 내 고양시와 인구 규모가 비슷한 도시들의 재정자립도를 살펴보면 수원 46%, 용인 47%, 성남 59%, 화성 61%인데 비해 고양은 32%로 재정자립도가 떨어진다. 시는 노인인구와 시설이 많은 데 반해 재정자립도가 낮아 노인 장기 요양급여 부담이 더욱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의 경우 시설(요양원) 입소자가 지원받는 시설급여는 경기도와 시가 각각 50%씩 분담한다. 그러나 가정에서 장기 요양 서비스를 제공받는 재가급여 예산 부담 비율은 도비 10%, 시비 90%로 시 부담이 압도적으로 많다. 시 재정 부담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경기도 31개 시군 재정자립도 /고양시
경기도 31개 시군 재정자립도 /고양시

시는 지난해 10월 ‘경기도 북부권 시장·군수 협의회 제3차 정기회의’ 안건으로 경기도 노인 장기 요양 재가급여 시·군 부담 비율을 기존 10%에서 50%로 상향해 줄 것을 건의한 바 있다.

그러나 경기도는 국비 확대를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도 부담비율 인상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도 현행 관련법상 의료급여 부담은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해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어 시·군 지자체의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노인의 신체 또는 가사 활동을 장기 요양 등급에 따라 지원하는 사업이다. 장기 요양기관 시설에 입소한 의료급여수급자에게는 ‘시설급여’를 지원하고 가정에서 생활하는 의료급여수급자에게는 ‘재가급여’를 지원한다. 재가급여로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 보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의 경우 장기 요양급여의 80~85%를 국비로 지원하지만, 의료급여수급자는 노인 장기 요양급여 전액을 지방자치단체(도, 시·군)가 부담한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노인 장기 요양에 대한 정부 차원의 예산지원이 필요하며 경기도와 시·군의 부담 비율도 재정 여건을 감안해 합리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와 경기도의 예산지원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건의하고, 다각도의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