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 및 교육 통한 사회 인식 개선 주장
"학부모, 어른부터 변해야 예방할 수 있어"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데 있어서 대부분의 사람이 법률 개정에만 주목한다. 하지만 문제를 바라보는 여러 사람의 생각이 달라져야 예방도 가능하고 교권 회복도 가능해진다."
정재준 한국학교폭력예방연구소 소장이 사회 전체의 참여를 요구하는 학교폭력 예방 방법을 제시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법률 개정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인식이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부모를 비롯한 어른의 역할도 강조했다. "학교폭력의 반이 욕설인데 이 욕을 부모에게서 학습하는 경우가 많다"며 "학교폭력의 예방은 어른의 마음(말)에 있다"고 말했다.
지난 25일 정 소장은 잇따른 학교폭력 사건으로 사회적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학폭 교권 특강 콘서트'를 열었다. 해당 포럼에서 그는 '연예인 학교폭력 예방 대사 위촉', '융합 교육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내용 교과목 편성', '폭력 예방을 위한 학교 규칙 마련', '수호천사 조직'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정 소장은 "학생들의 경우 친구보다 연예인 말을 더 잘 듣는다"며 학교에 연예인의 학교폭력 예방 단문 음성을 녹음하여 점심시간에 틀면 학교 폭력이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연예인과 언론사가 연합해 학교폭력 예방 광고 제작과 캠페인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예인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큰 만큼 이를 활용하여 학교 폭력 예방에 도움을 줘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과 관련된 방안으로는 "학교폭력 예방을 교과과목과 연계시켜 교육하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음악, 미술, 체육을 강조하며 "실력양성에 치우쳐 있는 기존 교육을 개선해 인성교육을 늘리는 방향으로 가자"고 말했다. 또한 급훈을 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문구로 바꾸는 등 기초적인 것에서부터 규칙을 만들자며 '수호천사 조직'을 만들어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건의했다.
정 소장의 예방책 중에는 제도를 활용한 것도 있었다. 'Wee 클래스'를 활용한 제도가 대표적이다. 그는 Wee 클래스에 자원봉사단을 발족한 뒤 후배와 선배를 연결해 후배가 선배에게 어려운 일을 상담하고 선배가 이를 선생님에게 알려 학폭을 미연에 방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외에도 "학교마다 학교 전담 경찰관인 SPO(school police officer)가 있다"며 "학생들이 핸드폰 단축번호에 SPO 번호를 저장하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그가 제안한 '관심 학생 제도'는 '일반 도움 학생'을 선정하고 학생 본인이 도움을 요청할 경우 '우선 도움 학생'으로 선정해 교사 및 상담사의 비밀리 운영을 통해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제도이다. 그는 "학폭 법을 보면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조치만 규정했을 뿐 잠정적 피해자에 대한 조치는 없다"며 "피해를 당할 것 같으면 잠재적 피해자로 보고 적극적으로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재준 소장은 대통령 소속 국가교육위원회 전인교육 특별위원이며 미국 U.C. 버클리대학교 로스쿨 형사정책학 박사(J.S.D)로 이 분야 전문가로서 오랜 경험과 최신 자료(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또 최근엔 국민의힘 경기도당 남양주병 조직본부장에 임명돼 지역구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이날 콘서트는 세 부분의 강좌로 나뉘었다. First 특강과 Second 특강으로 나눴으며 First 특강에서는 오늘날의 심각한 학교폭력의 현실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Second 특강은 학교폭력 예방 전략에 대해 10여 가지 최신 방법을 설명했고 마지막으로 교권 회복에 대해서도 다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