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두 번째 기자회견
공공시설 노키즈존 근절
어린이 패스트트랙 추진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어린이날을 하루 앞둔 4일 “공공시설부터 ‘노키즈존’을 없애나가자”고 주장했다. 용 의원은 이날 23개월 된 아들을 안고 소통관 기자회견장에 나섰다. 용 의원 아들이 함께 등원한 것은 2021년 이후 두 번째다.
용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스타 ‘핫플’이라 불리는 카페와 식당, 심지어는 공공이 운영하는 도서관조차 노키즈존이 되어버렸다. 아이의 손을 잡고 집을 나서면 어디로 가야 할지 막막하다”며 “우리에게 필요한 건 노키즈존이 아닌 ‘퍼스트 키즈 존’”이라고 설명했다.
용 의원은 “공공시설부터 노키즈존을 없애나가자. 공공시설조차 합리적 이유 없이 노키즈존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허다하다”며 “대표적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이 있다. 국가 차원의 공공시설 어린이 접근성에 대한 촘촘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용 의원은 어린이 동반 가족과 임산부는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줄을 서지 않고 먼저 입장하는 ‘어린이 패스트트랙 제도’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일본 정부가 추진 중인 저출생 대책 가운데 하나다.
용 의원은 “우리는 조금 더 빠르고 편리한 일상을 위해 누군가를 차별하고 배제해도 괜찮다는 생각에 길들여졌다”며 “우리가 바라는 사회는 빠르고 능숙하고 성숙한 사람들만을 위한 사회가 아니라, 느리고 서툴고 미숙해도 괜찮은 사회다. 세계 최하위의 출생률을 극복하려면 양육자와 어린이를 거부하는 사회부터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