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식당 1000원 아침 대학생에 인기 
당정, 사업 예산 규모 두 배 이상 확대 
野, "환영···더 과감·실질적 확대 필요"

20일 오전 서울 고려대학교 학생 식당에서 한 학생이 ‘천원의 아침밥’을 구매하고 있다. / 연합뉴스
20일 오전 서울 고려대학교 학생 식당에서 한 학생이 ‘천원의 아침밥’을 구매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정부가 끼니를 거르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침을 먹는 식습관 형성과 쌀 소비 확산을 위해 '천원의 아침밥' 사업 예산을 확대하는 가운데 재정 위기로 폐교 위기인 일부 지방 대학에서는 예산 확보가 어려워 정부 차원의 '아침밥 복지'도 누리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천원의 아침밥은 아침 식사 결식률이 높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쌀 또는 쌀 가공식품 등 아침 식사를 1000원에 제공하는 사업으로 농식품부와 대학이 함께 지원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최근 고물가 등으로 대학생들의 식비 부담이 가중되자 사업을 확대했다. 지난해 28개소에서 41개소로 참여 대학이 늘었다. 

하지만 천원의 아침밥은 학생이 1000원, 정부가 1000원을 부담하고, 나머지 예산은 학교가 자율로 부담해야 하는 방식이어서 이미 재정난을 겪고 있는 대학들은 학생 식당 운영마저 어려워 도입하고 싶어도 검토조차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천원의 아침밥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는 후하다. 지난해 농식품부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사업 지속을 묻는 말에 98.7%가 지속하기를 원했고, 아침밥의 중요성을 느꼈는가에 대한 질문에도 91.8%가 '그렇다'고 답했다. 그 때문에 지역 대학에서도 1000원 학식을 운영하면 학교 홍보 차원에서도 좋을 것이란 내부 의견이 있었지만, 역시 재정 때문에 사업 참여를 신청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29일 천원의 아침밥 사업 규모를 두 배 이상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천원 급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우선 두 배 이상 확대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을 넓히겠다는 것이다. 증액이 확정되면 현재 사업 지원 예산 7억7900만원에서 15억8800만원으로 사업 규모가 커진다. 지원 인원도 69만명에서 150만명으로 확대된다.

하지만 예산이 확대되더라도 대학교들의 재정 부담은 여전해 지원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지방자치단체들 참여가 방안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제안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지역에 따라 학교 재정 상황이 차이가 있어서 이 문제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적극 참여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며 "지자체와 부담 액수를 확대하는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대학이 훨씬 쉽게 참여해서 전국대학으로 확대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