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29.2% vs 羅 23.5% vs 安 22.6%
"군소후보, 단일화 통한 시너지 효과 분명"

국민의힘 나경원 전 의원과 안철수 의원이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서울시당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국민의힘 나경원 전 의원과 안철수 의원이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서울시당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3·8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50일 앞두고 후보들의 당권 경쟁이 과열되는 가운데 이번 당대표 선거부터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 승부수가 가능해지면서 후보들의 연대 시도가 활발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이번 전당대회에서는 나경원 전 의원과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 그리고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의 3파전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에브리씨앤알이 폴리뉴스와 에브리뉴스 의뢰로 지난 14~15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중 국민의힘 지지층 417명을 대상으로 당대표 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김 의원이 29.2%, 나 전 의원이 23.5%, 안 의원이 22.6%로 집계됐다. 

나 전 의원은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 등 자신을 비판한 ‘친윤 핵심’을 견제하면서도 당원 투표 100%로 당 대표 선출 방식이 바뀐 만큼, 비윤 프레임을 경계했다. 나 전 의원은 16일 오후 서울 중구 한 식당에서 수도권과 중도 표심을 상징하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만찬 회동 전 기자들과 만나 “저는 죽었다 깨도 반윤은 되지 않을 것 같다”라며 “진정한 윤 정부 성공을 위한 친윤이 되어야 하는데 지금 자꾸만 그들끼리의 친윤, 배제하는 친윤으로는 성공하기 어렵다. 이렇게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경기 성남시 분당구갑이 지역구인 안 의원은 ‘수도권 연대’를 띄우는 한편 나 전 의원 출마에 힘을 실었다. 안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결선투표제는 단일화 가능성을 배제하는 투표다. 이번에 그런 일(단일화)은 없을 거라고 자신 있게 말씀드릴 수 있다”면서도 “결선투표에서 떨어진 의원들은 각자 ‘나는 누구를 더 지지하겠다’ 이렇게 말씀을 보통 하시게 된다”며 결선투표 국면에서의 연대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어 안 의원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피선거권이 있는 분은 자기 의사가 있으면 어느 분이든 나올 수 있지 않나”라며 나 전 의원의 출마에 찬성 의사를 밝혔다.

이번 전당대회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결선투표가 선거 구도의 중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나 전 의원으로서는 결선에 올라간 경우, 당내지지 기반이 확고한 상황에서 기존 지지층과 비윤 표심까지 공략할 수 있다. 안 의원의 경우 2위로 결선에 올라가면 수도권 연대론에 힘입어 김 의원을 제칠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에브리씨앤알의 일대일 가상대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안 의원이 김 의원, 나 전 의원과의 대결에서 각각 48.4%(김기현 42.8%), 48.0%(나경원 41.9%)의 지지도를 얻었다. 결정적 요인은 나 전 의원을 지지한다고 밝혔던 응답자의 60%가 안 의원을 찍겠다고 응답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김 의원에 투표하겠다 응답한 비율은 31.6%에 그쳤다. 

2위 전략을 통한 결선 승부수가 가능하며, 결선에서 근소한 차이로 당선이 결정될 수 있는 만큼 황교안 전 대표와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 등 군소 후보들을 향한 3강 후보들의 적극적인 구애가 활발하게 이뤄질 전망이다.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당대표 출마를 통해 몸집을 불린 다음 연대를 통해 공천을 확보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라며 “황교안 전 대표의 경우 6% 정도 당심을 얻고 있는 만큼 단일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가 분명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