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영빈관·상춘재 찾는 빈도 잦아져
전면 개방 무색 12월에만 청와대 12번 이용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보건복지부·고용노동부·여성가족부·식품의약품안전처·질병관리청에 대한 업무보고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보건복지부·고용노동부·여성가족부·식품의약품안전처·질병관리청에 대한 업무보고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청와대가 전면 개방된 지 8개월을 넘긴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청와대 영빈관과 상춘재를 활용하는 빈도가 잦아지면서 윤 대통령이 열어젖힌 '용산 시대'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용산 청사와 청와대의 공존 가능성이 나온 것은 윤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국빈으로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 주석을 지난달 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맞으면서다. 다음날에는 청와대 내 전통 한옥인 상춘재에서 푹 주석과 차담을, 8일에는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에 진출한 축구국가대표팀 환영 만찬을 연이어 열었다. 

이후에도 국정과제점검회의(15일), 청년 간담회(20일), 비상경제민생회의 겸 국민경제자문회의(21일) 등 대통령이 참석한 행사가 영빈관에서 열렸다. 12월에만 모두 12번이다.

1979년 건립된 청와대 영빈관은 2층 구조로, 내부 홀 규모는 청와대 건물 중 가장 크고 층고도 높아 연회를 열기 적절한 공간으로 평가받았다. 반면 용산 대통령실은 외빈을 맞을 공간을 갖추고는 있지만, 영빈관에 비해 협소하고 외빈 행사에 걸맞는 인테리어를 갖추지 못했다는 평가가 있다.

대통령실은 그간 용산 청사와 근접한 국방컨벤션, 전쟁기념관, 호텔 등에서 외빈 행사를 치렀지만, 경호 문제나 비용 등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국가 영빈관(가칭)' 설립을 추진했지만, 영빈관 신축 비용 878억6300만원 중 497억4600만원이 사전 설명 없이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야권과 여론의 반대로 무산됐다.

이처럼 '국가 영빈관' 신축 계획이 무산된 상황에서 당장 대체할 공간을 찾기 어렵다는 현실적 판단이 나오자 외빈 행사를 다시 청와대로 유턴한 셈이다. 대통령실은 이같은 지적에 국격에 맞는 행사에는 청와대를 다각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영빈관의 경우 외빈 접견뿐 아니라 대통령 주재 회의 등 대규모 행사에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숱한 논란을 딛고도 윤 대통령이 공언했던 '청와대 완전 개방 취지가 무'색해졌다는 지적이다. 대통령실이 '역사와 전통 계승과 실용적 공간의 재활용'이라고 취지를 밝혀도 용산 이전으로 인한 효용성을 국민이 체감하지 못하면 개방 취지가 흐려질 수 있어서다. 

또 청와대 개방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보고나, 청와대 보존 관리 및 활용방안이 여전히 마련되지 않은 것은 별개의 문제로도 거론된다. 정부는 지난 5월 청와대 개방 이후 경제적 효과가 얼마나 발생했는지 한번도 발표하지 않았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청와대 하루 평균 방문객 수는 8800명으로 최대 예약 가능인원 4만 9000명의 17% 수준이다.  

또 청와대 권역에서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이 확인되면서 향후 청와대 관리와 활용에 관한 정부의 계획이 중요해질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한 의원은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청와대 개방으로 인해 올해에도 상당한 예산이 지출될 것으로 예상한다. 개방을 위한 준비기간도 없이 관람객들에게 청와대를 노출하며 훼손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며 "하루 빨리 청와대 권역의 역사적 가치를 확인하고 보존 방안도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