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서 차지하는 비중 0.8%로 증가
비전기차 대비 30%나 비싼 수리비
고전압 배터리 통일된 수리 기준 없어

서울시가 운영하는 전기차 급속충전기 /서울특별시청
서울시가 운영하는 전기차 급속충전기 /서울특별시청

전기차 시장 성장으로 자동차보험에 가입한 전기차가 3년 새 4배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전기차의 평균 수리비도 비전기차 대비 30%가량 비싸게 나타났다.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전기차 자동차보험 현황 및 감독 방향'에 따르면 지난해 말 자동차보험에 가입한 전기차는 18만 3829대로 1년 새 6만 9273대(60.5%) 증가했다.

전기차 대수는 3년 전인 2018년 말(4만 5792대)과 비교해 4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이에 전체 보험 중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8년 0.2%에서 0.8%로 늘었다.

집계 결과 전기차 수리비는 내연기관 차량(하이브리드 포함·이하 비전기차)보다 30%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말 기준 전기차의 평균 보험료는 94만3000원으로 비전기차의 평균 보험료(76만2000원) 대비 18만1000원 많았다.

전기차 자동차보험 가입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정리=여성경제신문
전기차 자동차보험 가입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정리=여성경제신문

전기차의 자차담보 평균 수리비는 245만원으로 비전기차(188만원) 대비 57만원(30.2%) 많았다. 보험사의 전기차 보험 손해율도 76.0%로 비전기차보다 2.0%포인트 높았다.

자동차보험 가입자 데이터로 살펴본 전기차의 주행거리는 비전기차보다 길었다. 2020년 마일리지 특약 가입자 가운데 1만 5000㎞를 초과 운행한 전기차 비중은 24.2%로 비전기차(10.3%) 대비 2.3배 높았다. 전기차의 사고율은 작년 기준 18.1%로 비전기차 대비 2.1%포인트 높았는데, 이는 전기차의 주행거리가 더 긴 데 기인한다고 금감원은 분석했다.

금감원 관게자는 "전기차는 보급 초기 단계로 수리 연구가 충분치 못해 고가의 고전압 배터리에 대한 통일된 진단 및 수리·교환 기준이 없다"며 "사고로 배터리를 교환 수리하는 경우 사전에 보험사와 협의해 불필요한 보험금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