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광고 업체, 스팸 문자 '남발'
소상공인 피해 속출···속임수 주의

윤석열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안 처리에 국회 협조를 요청하는 등 지원 의지를 드러내자 이를 빙자한 대출 유도 사기 문자가 기승을 부린다.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안 처리에 국회 협조를 요청하는 등 지원 의지를 드러내자 이를 빙자한 대출 유도 사기 문자가 기승을 부린다. /연합뉴스

금융권 대출이 어려운 소상공인을 노린 대환 대출 사기 문자가 기승이다. 윤석열 정부의 소상공인 손실보상이 추경안 처리를 앞둔 터라 진짜 정부 지원과 가짜를 혼동할 수 있어 피해가 예상된다. 

60대 소상공인 A씨는 소상공인 대출 ‘미끼 문자’로 불만이다. A씨는 “그간 쌓인 빚도 많다. 급전 마련에 신용 기준이 엄격하다는 걸 알면서도 하루에도 수건씩 오는 사기 대출 문자에 현혹되는 것 같다”며 “이젠 뭐가 진짜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16일 본지가 입수한 문자 분석 결과 은행권을 사칭한 스팸성 문자가 많았다. 모두 정부의 소상공인 지원을 운운했다. 하지만 이들은 정부나 은행과 어떤 관련도 없다. ‘긴급예산 새희망홀씨 채무통합 대환 신청 안내문’의 발신 전화번호를 추적한 결과 은행이 아닌 ‘금융권 사칭 피싱 사기 업체’인 것으로 확인됐다.

 

‘긴급예산 새희망홀씨 채무통합 대환 신청 안내문’ 발신 전화번호를 추적한 결과 은행이 아닌 ‘금융권 사칭 피싱 사기 업체’인 것으로 확인됐다. /독자 제공
‘긴급예산 새희망홀씨 채무통합 대환 신청 안내문’ 발신 전화번호를 추적한 결과 은행이 아닌 ‘금융권 사칭 피싱 사기 업체’인 것으로 확인됐다. /독자 제공

이들은 대상자로 선정됐다는 내용으로 피해자를 현혹해 대출을 유도한다. 그 후 대환 대출과 수고비를 요구한다. 대출 요건을 빌미로 전자 인증용 앱 설치를 유도해 거액이 무단 인출된 경우도 있다. 대개 당사자의 어려운 경제 상황을 악의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피해현황 분석’에 따르면 2021년 ‘대출 빙자형’ 문자 사기 피해액은 총 521억원이다. 금감원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채널 이용이 늘면서 사기수법이 대출 빙자형에서 메신저 피싱으로 발전했다”고 설명했다. 메신저 현혹 피해 연령별 비중은 40·50대가 전체 53%를 차지했다. 60대 이상이 37%로 그 다음이다.

이와 관련 한국인터넷진흥원 관계자는 “문자 내용을 보면 과거엔 허위 대출 상품을 단순 안내만 했었는데, 요즘엔 대출 승인 대상자로 선정됐지만 신청하지 않아 연락드렸다는 등 좀더 관심을 갖도록 지능적으로 변화했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이 정부 지원 사업인 양 오인하게 만드는 대출 유도 수법을 유형별로 정리해봤다.

#미끼를 열거하는 방식 '대표적'

점포 지원·손실보상·일상회복 등 자금 사용 목적이 천차만별인 소상공인 처지를 악용한 미끼 문자가 대표적이다. 신뢰를 이끌기 위한 여러 미끼를 문자 전반에 펼쳐놓으면 무심결에 속아 넘어간다는 것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정부기관이 보내는 문자와 구별이 불가능할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라며 “이 같은 사항들이 열거된 경우 무조건 미끼 문자로 봐도 무방하다”는 설명이다.

#제 1금융권 사칭해 신뢰 끌기

또 불법 대출업자는 제 1금융권을 사칭해 수요자 신뢰를 이끈다. 본지가 입수한 피싱 문자는 케이뱅크를 사칭했다. 메시지 아래엔 ‘3조5000억원 예산 규모 및 전액 보증’이라 적혀 있다. 전액 대환 대출 보증을 약속하고 중금리 대출로 이끌어 이자를 챙기려는 수법이다.

주로 사용되는 수법은 간단하다. 사기범은 유명 은행을 사칭한 뒤 기존 대출금의 일부 상환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저금리 대출 상품 전환 명목을 운운해 유혹당하기 쉽다. 문자를 받은 소상공인이 금액을 송금하면 이들은 잠적한다. 

금감원 공식 새희망홀씨 대출은 2025년까지 운영되는 상시 사업이다. /금융감독원
금감원 공식 새희망홀씨 대출은 2025년까지 운영되는 상시 사업이다. /금융감독원

#임박한 기한으로 심리 자극

정부 긴급 추경을 빙자해 임박한 신청 기한을 강조하는 심리 기법도 활용한다. 대개 문자에선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사업이라고 설명한다. 2022년 긴급 추경을 편성 받았다고 하면서 신청 기한은 바로 다음날부터 길게는 3일 뒤까지 가까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례로 16일 문자를 수령한 사람의 내용엔 마감이 19일 16시로 적혀 있다. 그러나 문자에 적힌 내용과 달리 금감원 공식 새희망홀씨 대출은 2025년까지 운영되는 상시 사업이다.

소상공인연합회 “문자 현혹 우려···별도 안내”

소상공인 단체에선 이같은 피싱 사기 업체들의 미끼 문자에 현혹되지 말 것을 당부했다. 2022년 긴급 추경에 따른 소상공인 손실보상 문의가 많아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윤선애 소상공인연합회 실장은 본지와 통화에서 “손실보상에 대한 민원이 많이 있어 정부 지원에 대한 관심도가 체감된다”며 “이럴 때일수록 정부 지원을 사칭한 문자에 주의를 기울여야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새 정부 손실보상 집행이 결정된 건 아니기에 온라인 활용이 더딘 중장년층 소상공인들의 문자 피해가 우려된다”며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미끼 문자 주의사항은 따로 챙겨 안내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윤석열 정부의 1분기 소상공인 지원책은 11일 당정이 협의한 사항이 국회 통과를 기다리고 있다. 이미 4분기 손실보상(2021년 10월 1일~2021년 12월 31일)은 지난 3월 25일 신청 마감됐다. 1분기 손실 보상은 영업 제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자영업자 370만명이 대상이다. 1인당 최소 600만원씩 지급된다. 정부는 약 59조원 추경 처리를 국회에 요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