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인수위, 국보급 절터 복원 계획 논의
문화재청 "터만 있는 경우 실물 복원 불가"

30일 문화재청이 인수위 업무보고에서 밝힌 신라 황룡사·백제 미륵사의 복원 추진 계획에 대해 실물 복원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29일 문화재청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복지문화분과 업무보고에서 황룡사 및 미륵사의 복원계획을 언급했다. 업무보고에는 사회복지문화분과 간사인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과 김도식·안상훈·백경란 인수위원, 문화재청 차장·국장 등이 함께 자리했다.
업무보고에서 논의된 내용에 따르면 차기 정부는 전통문화유산과 전통사찰 보존 정책을 강화하면서 신라 황룡사지 및 백제 미륵사지 등 국보급 문화재터 복원 계획을 세운다. 업무 보고를 마친 문화재청 측은 “고증 절차를 우선 거쳐 이 결과에 따라 실물, 혹은 3D 복원을 추진하게 된다”고 했다.
그러나 인수위 논의 내용과 달리 실물 복원은 어려움이 많다. 익명의 문화재 전문가는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폐사지나 절터 발굴이 많이 이뤄지고 있으나 터 위에 실물 건축이 올라간 경우는 없다"며 "테마파크 성격은 더러 있으나 실제 터는 사유지인 경우도 있고 문화재도 층마다 발굴돼 실물 복원은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문화재청 대변인실도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실물 복원이 어렵다고 답했다. 대변인실 측은 "황룡사는 터만 남아 사실상 실물 복원이 불가능하고 미륵사지도 현전하는 탑 복원 등 개보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특히 황룡사는 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시뮬레이션을 지속해오고 있는 만큼 3D 복원에 무게가 실린다"고 말했다. 이어 "인수위 논의 내용에 대해선 추가적인 지침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신라 황룡사 및 백제 미륵사 등 국보급 문화재 복원 추진은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인 공약 중 일부다. 윤 당선인 문화예술체육분야 9대 중앙선거공약 중 5번째 장에 이같은 내용이 처음 담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