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대유 사건을 SK게이트로 규정하는 시도가 유튜브를 통해 확산하고 있다. /연합뉴스
화천대유 사건을 SK게이트로 규정하는 시도가 유튜브를 통해 확산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경기지사의 '공공개발이익 도민환원제'가 촉발시킨 화천대유 사건이 SK게이트라는 음모론이 유튜브를 중심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SK그룹이 강력 대응에 나섰다.

SK그룹의 지주회사인 SK㈜는 27일 페이스북 게시글과 유튜브 방송 등을 통해 SK그룹과 최태원 회장 등에 대한 허위사실을 지속적으로 유포한 전석진 변호사를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명예훼손) 혐의로 서울지방경찰청에 고발했다.

SK그룹 관계자는 "전 변호사는 최근 열린공감티비 유튜브 방송에 출연, 대장동 사건은 SK 관련자 들이 연루된 ‘SK게이트'에 가깝고, 화천대유의 실소유주가 최태원 회장일 것이라는 등의 근거없는 허위사실을 지속적으로 유포해 SK그룹과 최 회장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했다"고 밝혔다.

전 변호사는 또 자신의 페이스북에 화천대유가 곽상도 국민의힘 아들 곽병채씨에게 지급한 50억원의 퇴직금은 최 회장이 준 대가성 뇌물이라거나 최 회장이 측근을 통해 사면 로비를 했다는 등의 허위의 글을 게시해 일부 매체가 이를 인용해 보도하도록 했다.

SK그룹은 전 변호사가 당초에는 소문이나 풍문을 인용하는 방법으로 SK 인사들이 대장동 개발에 관련됐을 가능성을 지적하다 최근에는 마치 사실이 확인됐다는 취지로 허위사실을 유포해 SK그룹과 최 회장 등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했다고 지적했다.

SK그룹 관계자는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존중하고 인정한다 하더라도 현재와 같은 인터넷과 SNS 환경에서 근거 없는 허위사실을 지속적으로 유포하는 경우에는 기업과 기업인은 회복하기 어려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면서 "향후에도 근거없는 비방과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기원 SK행복나눔재단 이사장이 재단 수익 창출을 위해 관리해온 킨앤파트너스가 화천대유자산관리의 종자돈을 빌려줬다는 보도를 근거로 이번 사건을 SK게이트로 몰아가는 시도는 유튜브를 통해 확산하고 있다. 전 변호사가 출연한 열린공감티비를 비롯해 펜앤드마이크(옛 정규재TV)도 '최태원 여동생의 400억: 이재명-SK게이트 서막 열리나'라는 제목의 인터뷰 방송을 지난 24일 내보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