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관계 각료 회의 통해 오염수 해양 방출 결정
삼중수소, ALPS 거쳐도 농도 ‘낮아질’ 뿐 제거되진 않아

일본 정부가 13일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사고로 생겨난 125만t 상당의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해양 방류하겠단 방침을 밝혀 국제 사회의 지탄을 받고 있다.
일본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관계 각료 회의에서 ‘처리수 처분에 관한 기본 방침’을 논의하고 후쿠시마 제1원전 탱크에 보관하고 있는 오염수를 해양 방출하기로 결정했다.
일본 정부는 향후 폐로 작업에 지장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며 해양 방출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이들은 폐로 작업 완료 시점으로 언급한 2041~2051년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오염수를 해양에 방출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 측은 오염수가 아닌 ‘처리수’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해양 방류 전 다핵종제거설비(ALPS) 등으로 대부분의 방사성 핵종을 없앤 뒤 물을 섞어 삼중수소(트리튬)의 농도를 낮춘 뒤 방출하므로 큰 위험성이 없다는 의미를 내포한 표현이다.
다만 처리 과정을 거친다 하더라도 삼중수소의 농도가 낮아질 뿐 걸러지지 못한단 위험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우리나라 정부와 국회에서도 이를 엄중 비판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최지은 더불어민주당 국제대변인은 이날 발표한 논평에서 “일본 정부가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 처리수 해양 방출을 단독으로 결정한 건 염치없고 이기적인 것”이라고 맹공했다.
최 대변인은 “원전 오염수 해양방출은 일본 국민뿐만 아니라 주변국의 생명과 안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일본 정부의 오염수 해양방출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는 오염수 해양방출 결정을 즉각 취소해야 한다”며 “아울러 오염수 처리과정 전반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검증할 것을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