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개발원 '교육 분야 양극화 추이 분석 연구'
고등학생 시기에 가장 양극화가 심해진다고 생각
교육 양극화 해결 정책 1순위로 ‘대입제도 개선’ 꼽혀

국내 성인 75%는 가정 형편이 좋은 학생의 성적이 더욱 좋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한국교육개발원이 24일 발표한 '교육 분야 양극화 추이 분석 연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지난해 5월부터 6월 사이 만 19세 이상 70세 미만 성인 남녀 2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5.2%가 가정 형편이 좋은 학생들의 성적이 높은 편이라는 질문에 동의한다고 대답했다.
가정 형편과 상관없이 개인의 노력으로 높은 성적을 얻을 수 있다는 문항에는 30.6%가 동의했고 32.7%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가정 형편과 관계없이 개인의 노력으로 원하는 사회적 지위를 얻을 수 있다고 보느냐는 물음에도 25.8%만 동의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41.4%)보다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 분야 양극화가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시기로는 고입 시기를 포함한 고등학교 시기가 48.2%로 가장 많이 꼽혔다.
중학교 시기와 대학교 시기(대입 시기 포함)는 각각 13.3%로 나타났다.
교육 분야 양극화를 위해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정책으로는 대학입시 제도 개선(18.1%)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연구를 이끈 김경애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연구실장은 "교육 하위 계층이 중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중간층이 하위 계층으로 하락하지 않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공교육 분야보다 사교육 등 사적 영역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에서 교육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