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까지 신기술분야 인재 10만명 양성키로
‘규제 샌드박스’ 도입 대학 간 공유‧협력 촉진
교육부는 내년부터 신규로 추진하는 ‘신기술 혁신공유대학 지원사업’에 1048억 원을 지원하여 2026년까지 신기술분야 수준별 인재 10만명을 양성키로 했다.
이 신기술 혁신공유대학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지능형) 반도체,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분야 교육역량을 보유한 대학들이 특화된 분야의 모듈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공유하는 대학으로서, 희망하는 학생이라면 전공에 관계없이 누구나 신기술분야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여 취업 역량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교육부가 9일 제15차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방안으로 발표한 내용 중 하나다.
교육부는 또한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규제를 개선해 대학이 원격/대면수업을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히고, 국내대학이 단독 또는 공동으로 운영하는 온라인 석사과정 및 국내-해외대학 간 공동 온라인 학석사 학위과정 운영을 허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역 내 대학 간 공유와 협력, 지자체-대학-지역혁신기관의 공유와 협력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이러한 대학 간 공유와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관련 규제를 과감하게 개선하는 ‘고등교육 규제 샌드박스’도 도입키로 했다.
또한 전국을 10개 권역별로 나누고 거점대학을 권역별 원격교육지원센터로 지정하여 공용 LMS 및 원격강의 장비를 구축하도록 지원하고 지역 내 대학간 실험실습실과 취‧창업 지원공간 공유 등 온오프라인 협업도 지원키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