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지구역 해제’ 등 활성화 정책만큼 문제점 보완 시급

'서울국제사진영상기자재전'이 열린 가운데 드론 브랜드 'DJI' 부스에서 관람객들이 비행하고 있는 드론을 살펴보고 있다. /문인영 기자 photoiym@seoulmedia.co.kr
'서울국제사진영상기자재전'이 열린 가운데 드론 브랜드 'DJI' 부스에서 관람객들이 비행하고 있는 드론을 살펴보고 있다. /문인영 기자 photoiym@seoulmedia.co.kr

 

드론산업의 빠른 성장과 함께 드론 활용이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민원도 증가하고 있다. 드론 활성화 정책 추진과 함께 파생되는 문제점에 대한 제도 보완도 시급해 보인다.
 
국민권익위원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할 산업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드론 관련 정책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2018년부터 올해 5월까지 민원분석시스템에 수집된 드론 관련 민원 1,276건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드론 관련 민원을 분석한 결과, 드론촬영 요청, 활용분야 확대, 드론비행장 확대 등 드론 활용 활성화와 관련된 민원이 37.0%로 가장 많았다. 

반면 비행금지구역 비행, 불법‧야간비행 신고 등 드론비행으로 인한 불편사항도 30.8%에 달했다. 이어 드론조종 교육 및 전문가 양성 관련 내용(17.1%), 드론제품 관련 문의 및 신고(11.7%) 순이었다.
 
드론 비행승인 등 활성화와 관련된 민원은, 비행금지구역에서의 비행‧촬영 문의‧요청, 비행구역 완화‧확대, 비행승인기간 단축 및 절차 간소화 등 비행승인에 관련된 내용이 60.4%(265건)로 다수를 차지했다. 

이어 택배‧응급구조‧오염물질 배출공장 점검 등에 드론 사용을 제안하거나, 정부지원금 문의 등 드론 활용에 관련된 내용이 23.0%(108건), 드론비행장 개선 및 확대 요구 등이 8.8%(52건)였다.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격 취득자수가 2017년 3,367명에서 2019년 1만4,843명으로 2년간 4배 이상 늘어난 만큼, 드론 이용인구가 증가하고, 촬영‧홍보 등 콘텐츠 제작 및 농업분야 중심으로 드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드론 활성화에 관심을 갖는 민원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와 관련한 민원엔 특정 지역에 대한 비행금지구연 한시적 해제 혹은 드론 특별자유화 구역 지정에 대한 요청도 존재했다.
 
드론비행으로 인한 불편사항으로는 주거지역‧공원 등에서 소음이나 사생활 침해를 이유로 드론 비행을 신고하거나 계도를 요청하는 내용이 66.7%(262건)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야간비행 신고가 20.6%(81건)를 차지했다. 특히, 유튜브‧인스타그램‧블로그 등에서 본 드론 야간촬영 영상을 증거로 제출한 사례가 많았다.
  
지난해 4월 드론법이 제정되는 등 드론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이 본격화되고 있는 반면, 드론시장이 빠르게 성장할수록 그에 따른 불편을 호소하는 목소리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민원 중에선 거주지 주변에서 드론이 비행해 사생활 침해 혹은 범죄 악용에 대한 불안을 호소하거나, SNS 등 콘텐츠에 불법비행으로 촬영된 드론 영상이 게재됐다는 신고 등이 존재했다.
 
드론조종 교육 및 전문가 양성과 관련, 교육 확대 및 교육품질 개선 요구, 비행시간 미준수나 무자격 강사에 의한 교육 불만 등 드론교육에 관련된 내용이 43.1%(94건)로 다수였다. 이외 드론운용병 선발기준 개선을 요청하거나 경찰‧소방관 등 채용시 드론전문가 선발을 묻는 민원 39.4%(68건), 의무 집합교육 대기시간 단축‧실기시험 개선‧자격증 표기방법 개선 요구 등도 있었다(17.4%, 38건).
  
취미용 외에 산업분야에서의 드론 활용이 계속 확대되고 있는 만큼 드론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조종 교육의 품질을 개선하고, 인프라를 확충하는 한편, 드론시험‧자격증‧드론운용병 선발기준 등에 대한 수요자 중심 제도 보완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그 외 드론제품 관련 문의 및 신고 내용으로는 제품인증 문의(66.4%, 100건), 제작‧수입‧판매 관련 민원(19.1%, 29건), 불량‧미인증 제품판매‧과장광고 신고 등의 내용이 있었다(14.5%, 22건).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