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폐쇄 장기화시 피해 눈덩이…한국대사관, 헬프데스크 설치

화산 분화의 여파로 인도네시아 발리 섬의 항공교통이 마비되면서 현지에 발이 묶인 한국인 관광객이 최대 8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진은 인천공항을 통해 출국하려는 관광객의 모습. /여성경제신문 자료사진

화산 분화의 여파로 인도네시아 발리 섬의 항공교통이 마비되면서 현지에 발이 묶인 한국인 관광객이 최대 8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등 피해가 빠르게 늘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8일 관련 당국과 업계 등에 따르면 이 시기 발리를 찾는 한국인 관광객은 대부분 신혼부부와 배낭여행객으로 하루 400∼500명이 한국행 항공편에 탑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리 현지 상황에 정통한 소식통은 "요일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하루 400명 내외가 귀국하는데 이틀간 결항된 만큼 700∼800명 정도가 발이 묶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문제는 발리 응우라라이 국제공항의 운영이 언제쯤 재개될지 예측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현지 항공당국은 섬 동북쪽에 위치한 아궁 화산에서 뿜어져 나온 화산재가 남서쪽으로 이동해 섬 전역을 뒤덮자 이날 새벽 응우라라이 국제공항의 폐쇄 기간을 29일 오전 7시까지로 24시간 연장했다.

인도네시아 국가방재청(BNPB)은 현재 자바 섬 남쪽 해상을 지나는 열대성 저기압 '쯤빠까'(Cempaka)의 영향 때문에 북동풍이 불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풍향이 유지될 경우 29일에도 공항 운영이 재개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발리 응우라라이 국제공항에선 27일 하루 동안에만 445편의 이착륙 항공편이 취소돼 약 5만9000명의 승객이 발이 묶였던 만큼 공항 폐쇄가 장기화할 경우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될 전망이다.

주인도네시아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한국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리 한인회의 협력을 받아 28일 오전 응우라라이 공항 국제선 청사 2층에 헬프 데스크를 설치하고 현지에 직원을 급파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