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달보다 48% 늘어난 4만9777가구 공급…전문가들 "철저한 자금계획 수립후 청약해야"

▲여성경제신문 자료사진

'e편한세상' 브랜드를 앞세운 대림산업은 이달에만 전국에서 8200채가 넘는 아파트를 분양 중이다. 올해 재건축·재개발 시장에서 업계 1위 수주 실적(약 3조2996억원)의 기세를 이어간다는 점을 감안해도 연말에 단일 업체가 공급하는 물량으로는 이례적인 규모다. 통상 12월은 분양 비수기이기 때문이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지난달 분양 예정 물량이 법규 변경 등으로 일정이 일부 지연돼 이월된 탓에 연말에 소화해야할 부담이 늘어나게 됐다"고 말했다.

21일 부동산정보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이달 분양 물량은 4만9777가구로 지난달(3만3566가구)보다 48.3% 불어났다. 리얼투데이가 분양 집계를 시작한 2009년 이후 12월 분양 물량으로는 지난해에 이어 역대 두번째 규모다.

분양권 전매 제한 등을 내용으로 하는 11.3 부동산 대책 이후 집값이 꺾이고 있는데다 내년부터 주택담보대출 받기가 까다로워지면서 건설사들이 연내 아파트 물량 밀어내기를 서두르고 있다.

내년 1월1일 이후 분양 공고되는 아파트 단지는 집단대출 중 중도금뿐 아니라 잔금대출에도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시행된다. 잔금대출 때도 소득증빙이 의무화되고 처음부터 이자와 원금을 함께 갚아가는 비거치, 분할상환 원칙이 적용된다.

예컨대 4억원짜리 아파트를 분양받을 경우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LTV) 최대 70%를 적용해 잔금대출은 2억8000만원까지 가능하다. 지금까지는 대출 후 5년까지는 원금상환 없이 이자만 내도 됐다. 하지만 내년부터 분양하는 아파트는 거치기간 1년 이후 2년째부터 원금도 같이 상환해야돼 가계 부담이 배 가까이 늘어나게 된다.

수요자 입장에서는 중도금대출 규제에 이어 잔금대출까지 죄어지면서 내집 마련 자금 문턱이 높아지게 됐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이맘때는 올해처럼 상황이 나쁘진 않았다. 좋아진다 안좋아진다가 아니라 어떻게 될지 모르는 불확실성이 커진다는 점이 문제"라면서 "미국 금리인상, 국내 대출 옥죄기 같은 연쇄 악재로 계획에 잡혔던 물량은 빨리 털자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지난해는 정부가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을 폈지만 올해는 반대로 규제 강화 정책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며 11.3 대책으로 분양시장을 접근하는 시각을 달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병기 리얼투데이 연구원은 "입지여건, 개발호재, 환금성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실주거 목적으로 다가가는 전략이 더욱 필요하게 됐다"며 "내년부터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적용되는만큼 철저한 자금계획을 세워 분양시장에 진입하는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