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선대위 발족·공약 발표 등 선거유세 본격 돌입

진통 끝에 4·13 총선 공천을 마무리한 여야가 이번 주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들어간다.
새누리당은 '원내 과반 의석 재확보'를, 더불어민주당은 '여소야대(與小野大) 구도 성사'를, 국민의당은 '원내교섭단체 구성'을 각각 목표로 내세워 선거대책위원회를 띄운다.
새누리당은 이번 총선의 최소 목표를 공천 과정에서 무너진 '원내 과반' 회복으로 잡았다.
27일 현재 새누리당 의원은 146명으로, 재적 의원(292명)의 절반이다.
이와 함께 새누리당은 과반 확보를 위해 '일하는 국회'를 구호로 내세웠다. 선거만 끝나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 당내 권력투쟁에 매몰되는 구태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공약도 '백화점식 나열'에서 벗어나 ▲일자리 개혁 ▲청년 독립 ▲40∼50대 재교육 ▲마더센터 ▲갑·을 개혁 등 핵심 5가지만 추렸다.
28일 공식 발족하는 선대위에는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서청원·이인제 최고위원,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등 5명이 공동 선대위원장을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부위원장을 맡은 다른 최고위원 등과 함께 5개 핵심 공약을 반드시 지키겠다는 계약서에 서명한다.
또 공약을 지키지 못하면 세비를 반납하겠다는 계약서를 쓰고 '뛰는 국회'를 상징하는 이어달리기 퍼포먼스도 김무성 대표에서 시작해 최경환 의원까지 이어간다.
원 원내대표는 "이번 총선은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드는 '민생 우선세력'과 경제를 포기한 '민생 외면세력'의 대결"이라고 말했다. 야당이 민생 입법에 잇따라 제동을 걸었다는 주장을 내세우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사용한 "배신의 정치" 표현을 동원, '야당 심판론'으로 몰고 가겠다는 전략이다.

더민주는 현행 '107석 사수'를 김종인 대표가 총선 목표로 제시했지만, 내부적으로는 130석 정도를 목표치로 거론하고 있다.
선대위원장은 '경제민주화'를 상징하는 김종인 비대위 대표가 단독으로 맡는다. 또 서민경제의 실태를 점검하고 의제를 발굴할 핵심 조직으로 가칭 '경제상황실'을 설치해 비례대표 4번인 최운열 서강대 전 부총장이 지휘한다.
김 대표는 "이번 총선은 국민을 제대로 보살피지 못한 '배신의 경제'를 심판하는 선거"라며 여당의 '배신의 정치' 프레임에 맞불을 놓기도 했다.
이른바 '경제심판론'을 통해 박근혜 정부에서 점점더 악화한 실업과 빈부 격차의 해법을 제시하는 동시에 경제민주화 공약의 후퇴 사례를 조목조목 지적하겠다는 태세다.
또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청년 일자리 70만개 창출, 공공임대 5만가구, 최저임금 인상, 생활임금 확대, 이익공유제 확대 등 이른바 '더불어성장론'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국민의당은 양당 정치 심판론'을 구호로 내세웠다.
이에 따라 총선의 핵심 기조도 새누리당과 더민주의 '담합 체제'를 '3당 경쟁 체제'로 바꾸는 정치체제 변혁을 제시했다.
또 각 분야 전문가를 앞세워 '새로운 정치'로 호소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안철수·천정배·김영환·이상돈 등 4인 공동 선대위원장 체제에 비례대표 1·2번으로 지명한 신용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오세정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를 추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목표 의석은 원내 교섭단체 구성 요건인 최소 20석이다. 이태규 전략본부장은 호남에서만 20석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고, 전국 정당 득표율도 20% 이상 얻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