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경영 준수한 제약사 혜택주는 방안 정부에 건의

▲ 이행명 한국제약협회 이사장(명인제약 회장)은 17일 서울 방배동 제약협회 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윤리경영위반(불법리베이트) 의심이 가는 제약사는 제약협회에서 명단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제공=한국제약협회

“윤리경영위반(불법리베이트) 의심이 가는 제약사는 제약협회에서 명단을 공개하겠다.”

이행명 한국제약협회 이사장(명인제약 회장)은 17일 서울 방배동 제약협회 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한국제약협회가 자체 무기명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리베이트 의심 제약사를 공개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한 것.

이는 제약협회가 의약품 처방 대가로 의사에게 금품을 건네는 불법 리베이트를 뿌리 뽑겠다는 적극적인 의지로 풀이된다.

제약협회는 그동안 분기별로 무기명 설문조사를 벌여 리베이트가 의심되는 제약회사를 조사하고 의심 회사를 제약협회장이 방문해 자제하도록 권고했다.

올해 1월부터 리베이트로 사법처리를 받은 제약회사를 징계하고 있다.

제약회사들도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내부 규정을 강화하고 있다. 정부가 인증하는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CP) 유효등급을 보유한 제약회사는 3곳이며, CP전담팀을 운영하는 회사는 19곳, CP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회사는 44곳 등이다.

이에 이 이사장은 “큰 회사들이 제약사 윤리강령을 통해 리베이트 근절을 정착시키려고 노력했고 그만큼 많이 변했다”라고 말하면서도 “리베이트하는 기업이 줄어드니 역으로 리베이트를 제공하는 회사의 효과가 좋아져 살아져가는 불씨가 다시 재생되는 것 같은 느낌”이라고 우려했다.

이 이사장은 “굴뚝에 어느 정도 불을 때면 연기가 적게 나겠지만 많이 때니까 연기가 많이 나는 것 아닌가”라며 “처음에는 1~2개 정도, 이후 4~5개까지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제약업계가 신약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고 해외 수출에 주력하고 있지만 리베이트 문제가 생기면 정부에 할 말이 없다”며 “리베이트를 전면 금지해 국민에게 부끄럽지 않고 훌륭한 인재가 많이 유입될 수 있는 제약업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제약협회는 윤리경영을 준수한 제약회사에 혜택을 주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이 이사장은 “정부가 엄격한CP 기준을 준수한 제약회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리베이트 근절에 보다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약협회는 제약업계의 신약 수출을 위해 임상 1~3상의 R&D 비용에 대한 세제 혜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경호 제약협회 회장은 “제약업계는 엄격한 윤리경영을 적용하고 정부는 제약업계를 지원하면 제약산업이 미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