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경쟁·반도체 수요 확대 속 韓 재평가
"한·미 통상협의, 불확실성 상당히 줄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한·미 통상 합의의 안정 효과와 AI 산업 경쟁력에 주목했다. 그는 영국 방송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양국의 기술 협력 가능성과 대미 관세 영향,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을 짚으며 한국이 AI·반도체 수요 확대 국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평가했다.
18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기초 과학 역량과 한국의 제조 및 응용 기술 역량을 결합하는 합작 투자를 발전시킬 수 있다면 정말 좋을 것"이라며 "한국과 미국의 통상 합의가 불확실성을 상당히 줄였다"고 평가했다.
대미 관세 영향과 관련해 이 총재는 "올해 상반기에는 수출 호조 덕분에 데이터가 나쁘지 않았다"며 "하반기에 더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무역 긴장이 있기 전부터 우리는 이미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목격했고 아시아의 공장인 중국 이외 지역으로 시장 다변화를 시작했다"며 "이는 무역 긴장 때문이 아니라 특정 산업에서 중국의 경쟁력이 매우 확대돼 조정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신기술은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측면"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특히 AI와 같은 신기술 분야에서 좋은 위치에 있다"며 "한국의 AI 산업은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에서도 강하다"고 평가했다.
AI 거품론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총재는 "설령 거품이 있다해도 이 치열한 AI 경쟁에서 누가 승자가 되든 AI 붐은 계속될 것"이라며 "AI는 고사양의 대규모 서버뿐 아니라 소형 기기, 피지컬 AI 등에도 사용되면서 막대한 반도체 수요를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국은 다른 나라들보다 조금 더 안전하다"고 덧붙였다.
여성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syeon0213@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