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계좌까지 점검하는 사전통제 강화
임직원 등록관리·제보시스템 전면 개편

NH투자증권이 내부통제 체계를 전면 재정비하며 신뢰 회복에 속도를 내고 있다. /NH투자증권
NH투자증권이 내부통제 체계를 전면 재정비하며 신뢰 회복에 속도를 내고 있다. /NH투자증권

NH투자증권이 내부통제 체계를 전면 재정비하며 신뢰 회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공개정보 관리, 가족계좌 모니터링, 임원 주식매수 제한 등 사전 점검 중심의 통제 장치를 대폭 강화해 내부정보 유출과 이해상충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조치다.

9일 NH투자증권이 내부통제 강화 TFT를 통해 ‘신뢰 강화 대책방안’을 구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내부통제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사전적 점검 체계를 더욱 강화하는 데에 방점을 뒀다.

미공개 중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인원을 전사적으로 등록·인증하는 ‘미공개중요정보 취급 임직원 등록관리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본부 단위 조직 체계에 따라 이뤄졌던 내부통제를 프로젝트 별로 관리하여 정보 접근의 투명성과 추적 가능성을 높였다. 공개매수, 유상증자, 블럭딜 등 국내 상장주식 관련 IB(기업금융)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임직원 대상이다.

이 과정에서 자금세탁방지(AML) 기술 기반의 점검 체계를 활용한다. 내부통제 대상이 되는 프로젝트 관련 임직원의 당사 계좌뿐만 아니라 타사 계좌 및 가족 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상거래까지도 점검할 계획이다. 우회 거래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사후 적발은 물론 사전에 점검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출 예정이다. 가족 계좌의 경우 개별 동의한 배우자 및 미성년 자녀의 계좌를 대상으로 한다.

미공개정보 이용 관련 위반사항이 적발되면 무관용 ‘원스트라이크 아웃'을 적용한다. 미공개 중요정보를 취득하고 이용, 제공, 유출할 경우 즉시 업무 배제 이상으로 징계한다. 전 임직원의 경각심을 제고해 규정 위반을 사전에 방지하고 윤리규범을 내재화하는 게 목적이다.

앞서 발표한 전사 임원 대상 국내주식 매수 금지를 이번 신뢰 강화 방안에 포함해 미공개정보를 사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한다. 익명성이 철저히 보장되는 내부 제보 제도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준비해 내부 제보자의 신분 노출에 대한 임직원의 우려를 해소하고 제도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이사는 “내부통제 강화 TFT가 구축한 ‘신뢰 강화 대책방안’은 신뢰를 단순한 선언이 아닌 시스템으로 즉각 구현하는 실질적 혁신”이라며 “정보관리 투명성과 내부통제 효율성을 모두 강화해 금융투자업계의 신뢰 강화 기준을 새로 세우겠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syeon0213@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