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국민·신한·우리은행 순
예치자금은 911억7500만원

캄보디아 프놈펜 시내의 한 국내 은행의 현지법인 지점들. /프놈펜=연합뉴스
캄보디아 프놈펜 시내의 한 국내 은행의 현지법인 지점들. /프놈펜=연합뉴스

캄보디아 범죄조직 연루 의혹을 받는 프린스 그룹에 국내 주요 은행들이 14억원이 넘는 이자를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북·국민·신한·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은 프린스 그룹에 예금 이자로 총 14억5400만원을 지급했다. 전북은행이 7억87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국민은행(6억7300만원), 신한은행(6100만원), 우리은행(1100만원) 등 순이었다.

현재 이들 은행에는 프린스 그룹 자금 911억7500만원이 예치돼 있으며 국제 제재에 따라 은행들이 이를 자체 동결한 상태다.

프린스 그룹과 국내 은행 간 거래 금액도 당초 금감원에서 파악한 수준(1970억4500만원)보다 늘어난 2146억8600만원으로 재집계됐다.

이 중 전북은행이 1252억800만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국민은행 707억8800만원, 신한은행 77억900만원, 우리은행 70억2100만원, IM뱅크 39억6000만원(해외 송금) 순이었다.

전북은행은 또 후이원 그룹이 2018년 8월 개설한 당좌예금 1건도 보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당좌예금은 수표·어음을 발행해 대금을 결제하는 요구불예금으로 후이원 그룹의 잔액은 현재 10만원이었다.

다만 입출금이 자유로운 구조상 지난 7년간 거래 규모는 확인되지 않았다. 캄보디아 범죄조직이 국내 은행 현지법인을 자금세탁 통로로 활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금융당국의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강민국 의원은 "정부의 범죄 관련자에 대한 제재 절차가 시급하다"며 "캄보디아 범죄조직과 거래한 은행 중 일부가 코인거래소 제휴은행이라는 점을 감안해 자금 세탁 가능성에 대한 철저한 조사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syeon0213@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