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희토류 기업 이어 '양자컴'도 검토
세금 조성 공공자금, 일정 이익 공유 필요
목표 달성 이후 추가 검토 통해 참여 조정
양자컴 기술 '차세대 핵심 산업'으로 주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양자 컴퓨팅 기업의 지분 확보를 검토하면서 핵심 전략 산업 전반에 대한 정부 개입이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아이온큐, 리게티 컴퓨팅, 디웨이브 퀀텀 등 주요 양자 컴퓨팅 기업과 미 연방정부 지원금 제공을 조건으로 상무부에 일부 지분을 넘기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보조금 규모는 기업별 최소 1000만 달러(약 143억4200만원) 수준이며 퀀텀 컴퓨팅과 아톰 컴퓨팅도 유사한 협약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그간 "세금으로 조성된 공공자금이 기업에 투입되는 만큼 정부도 기업의 성공으로부터 일정 부분 이익을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8월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에 지급된 약 90억 달러(약 12조9000억원) 규모의 보조금을 지분으로 전환하는 조건으로 약 10%의 지분을 확보하기로 합의했다. 이로써 인텔은 미국 연방정부가 대주주로 참여하는 사실상 국영 기업이 됐다. 최근 행정부는 인텔에 이어 크리티컬 메탈스와 리튬 아메리카스 등 희토류 업체 지분 확보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5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핵심 전략 산업 기업에 대한 정부 지분 참여가 더 있을 수 있다"라며 "제2의 인텔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정부 개입 강화에 대한 비판에 대해 "이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에 중국이 희토류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도록 방치한 측면이 있다"고 반박했다. 또한 "비핵심 분야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목표 달성 후 추가 검토를 통해 과도한 참여를 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자 컴퓨팅은 양자역학 원리를 활용해 기존 컴퓨터로는 불가능하거나 수천 년이 소요될 연산을 단시간에 처리하는 기술로 인공지능(AI) 이후 차세대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IBM 등 글로벌 빅테크에 더해 각국 정부가 국가 안보 및 기술 패권 확보 차원에서 개발 경쟁에 나서고 있다.
한편 구글은 지난 22일 세계 최초로 '검증 가능한 양자 우위'를 달성한 알고리즘을 구현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알고리즘은 세계 최고 성능 슈퍼컴퓨터의 고전 알고리즘 대비 약 1만3000배 빠른 연산 성능을 보였으며 신약 개발이나 신소재 연구와 같은 실용 분야 적용 가능성도 제시됐다고 구글은 밝혔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