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토스뱅크 청년층 연체율 1.5% 돌파
비대면 대출 확산·빚 탕감 기조 맞물린 탓

인터넷전문은행을 중심으로 청년층 신용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간편한 비대면 대출이 자금난에 빠진 청년층의 숨통을 잠시 틔웠으나 고금리·고물가와 상환 여력 악화가 겹치며 부작용이 현실화되고 있다. 정부의 대규모 빚 탕감 기조가 채무에 대한 도덕적 해이를 확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23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한홍 의원실에 제출한 ‘인터넷은행 청년층 신용대출 연체 현황’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의 30대 이하 연체 잔액은 2022년 말 368억원에서 올해 7월 말 577억원으로 5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은 0.91%에서 1.51%로 뛰었다. 20대는 1.43%에서 1.93%, 30대는 0.78%에서 1.37%로 상승했다.
토스뱅크의 청년층 연체액도 같은 기간 298억원에서 425억원으로 43% 늘었다. 연체율은 0.93%에서 1.39%로 상승했으며 특히 20대는 1.48%에서 2.50%로 1%포인트 이상 급등했다. 케이뱅크는 연체액이 501억원에서 237억원으로 감소했지만 20대 연체율(2.30%)은 여전히 시중은행 평균을 웃돌았다.
전문가들은 청년층 중심의 ‘비상금대출’ 급증을 핵심 요인으로 꼽는다. 올해 1~7월 인터넷은행 3사의 비상금대출 신규 취급액은 1조1924억원, 총 43만 건으로 집계됐다. 소득이나 직업에 관계없이 최대 300만원까지 빌릴 수 있는 구조가 연체 리스크를 높였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대규모 채무조정·빚 탕감 정책 기조도 청년층의 상환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가 ‘사회 초년생 재기 지원’ 명목으로 30세 이하 채무자에 대한 원금 감면, 상환 유예 등을 확대하면서 ‘대출을 받아도 결국 갚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이 퍼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고금리·고물가 환경 속에서 채무상환 부담이 커지는 만큼 이자율이 높은 단기 대출(비상금대출·카드론 등)부터 우선 상환하고 장기·저금리 대출은 후순위로 두는 것이 신용 방어에 유리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윤 의원은 “인터넷은행의 비대면 대출이 청년층 접근성을 높인 반면 연체율 급등이라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며 “정부가 채무상환 관리와 금융교육 대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여성경제신문 허아은 기자 ahgentum@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