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국 의원실 금융권 IT 인력 현황 분석
디지털 전환 속 보안 대응 역량 한계 지적

금융업권 전반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보안 사고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 가운데 금융권의 IT 인력 비중은 여전히 10% 안팎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국내 주요 금융업권 IT인력 현황'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6개 금융업권 전체 임직원 대비 IT 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11%(IT 2만6137명/전체 22만9271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연도별로 보면 △2021년 9% △2022년 9% △2023년 10% △2024년 11% △2025년 8월 11%로 증가했다. IT 기술과 업무 비중에 반해 평균 10% 수준으로 정체된 것이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카드업권의 IT 인력 비중이 20%(IT 2721명/전체 1만3470명)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생명보험 15%(IT 3362명/전체 2만3166명) △증권 11%(IT 4293명/전체 3만8701명) △저축은행 11%(IT 1031명/전체 9456명) △은행 10%(IT 1만1553명/전체 11만654명) △손해보험 9%(IT 3177명/전체 3만3824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카드업권 중 IT 인력 비중은 현대카드가 28%(IT 616명/전체 2204명)로 가장 높았으며 삼성카드가 13%(IT 262명/전체 2063명)로 가장 낮았다. 최근 해킹사고로 297만명 회원정보가 유출된 롯데카드의 경우 IT 임원 비중이 7%(IT 3명/전체 45명)에 불과해 카드업권 중 가장 낮았다.
생명보험업권 중 IT 인력 비중은 AIA생명보험이 34%(IT 236명/전체 691명)로 가장 높았으며 DB생명보험이 6%(IT 36명/전체 597명)로 가장 낮았다. 손해보험업권 중 IT인력 비중은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이 48%(IT 121명/전체 251명), 흥국화재가 5%(IT 54명/전체 1037명)로 가장 낮았다.
증권업권에서는 토스증권이 61%(IT 265명/전체 437명)로 가장 높았으며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이 2%(IT 5명/전체 207명)로 가장 낮았다. 저축은행업권은 하나저축은행이 22%(IT 36명/전체 161명)로 가장 높았으며 안양저축은행이 2%(IT 1명/전체 46명)로 가장 낮았다.
은행업권 중 IT 인력 비중은 카카오뱅크가 50%(IT 869명/전체 1740명)로 가장 높았으며, 기업은행이 6%(IT 806명/전체 1만3482명)로 가장 낮았다. 인터넷전문은행 3사(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는 비대면 업무라는 특수성이 있어 다른 은행들에 비해 월등히 IT인력 비중이 높았다. 케이뱅크와 토스뱅크는 모두 각각 49% 수준이었다.
강 의원은 “디지털·AI 경제의 확산에 따라 전 산업군에서 IT 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금융업권 IT 인력 비중은 10% 수준에다 그마저도 채용이 감소하고 있어 해킹 등 사이버 위협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 당국은 국내외 사례 및 업계 의견 등을 수렴해 '전자금융거래법'의 하위 규정에 대폭 강화된 IT 인력 확보 수준을 명문화시키고 정보유출 등 중대한 금융 IT사고 발생 시 징벌적 과징금 부과 등의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여성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syeon0213@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