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달러↓ 소액 수입품 무관세 철회
韓 온라인 무역 업체 매출 50% 급감
美 구매자 줄줄이 '수취 거부'로 반송
"정부 차원의 실질적 지원책 급선무"

미국이 지난달 29일부터 800달러(약 111만원) 이하 소액 수입품에 적용해 온 무관세 제도를 폐지하면서 국내 중소기업과 온라인 셀러들이 큰 타격을 입고 있다. 관세가 추가되면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배송 시스템까지 혼란을 겪자 성장세를 이어오던 온라인 수출에 급제동이 걸렸다는 분석이다.
8일 한국경제신문 보도에 따르면 경기 시화국가산업단지에서 가정용 공구 세트를 생산하는 H사는 미국 아마존 진출을 위해 상표 등록까지 마쳤지만 소액면세제도(De Minimis) 폐지 소식에 무역 업체와 계약을 진행하다 중단했다. 관세 부과로 가격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국내 온라인 무역업체들도 매출이 급감했다. 소액면세제 폐지 이후 매출이 50% 이상 줄어든 업체도 적지 않다. 특히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자동차 부품, 화장품, 식품, 굿즈 업계가 직격탄을 맞았다.
이베이를 통해 화장품을 수출하던 B사는 15% 상호 관세에 더해 용기에 포함된 알루미늄 때문에 별도 품목 관세 50%까지 물게 됐다. B사 관계자는 "배송비에 고율 관세까지 반영하면 판매가가 급등해 수출 물량이 크게 줄 수밖에 없다"라고 우려했다.
K팝 스타가 새겨진 스테인리스 텀블러를 제조해 미국에 판매하던 T사도 판매가가 5만원에서 품목 관세(50%)를 적용받아 7만5000원으로 오르면서 매출이 급감했다.

배송망도 차질을 빚고 있다. 국내 수출업체들이 주로 이용하던 우정사업본부는 미국 연방우정청(USPS)의 관세 징수 시스템이 아직 마련되지 않아 미국행 소포 접수를 중단했다. 민간 특송사 DHL, UPS, 페덱스 등의 요율도 인상돼 업체들은 이중 부담을 지고 있다.
일부 특송사들은 소액면세제 폐지에 따라 새로운 요금 체계를 도입하면서 관세 대납 수수료까지 요구하고 있다. 예컨대 300달러짜리 제품에 15% 상호 관세(45달러)가 붙으면 배송료 외에도 대납 수수료·플랫폼 수수료 등 18달러를 추가로 내야 한다.
문제는 현지 구매자들까지 관세 부담을 거부하고 있다는 점이다. 온라인 무역업체 김태경 리딩트러스트 대표는 "관세 부과 사실을 몰랐던 미국 구매자들이 수취를 거부하면서 반송 사례가 늘고 있다"라며 "반송 수수료는 할인요율 적용이 안 돼 5~10배까지 부담하는 경우도 있다"라고 전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온라인 총수출액은 13억8000만 달러였으며 이 중 중소기업이 73.2%(10억1000만 달러)를 차지했다. 올해 2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판매액(7388억원)에서 국가별 비중은 중국 47.1%, 일본 23.9%, 미국 18.7% 순이었다. 미국은 세 번째로 큰 시장인 셈이다.
업계는 미국 조치로 온라인 수출 성장세가 크게 꺾일 것으로 우려한다. 한기용 에이슨앤컴퍼니 대표는 "전자상거래는 마케팅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미국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효과적 수단이었지만 이번 조치로 상황이 악화했다"라며 "수출 감소는 곧 달러 유입 감소로 이어지는 만큼 정부 차원의 실질적 지원책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