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9월 말 이후 최대치
중소기업 신규 부실 3.9조

국내은행의 올해 1분기 부실채권은 16조6000억원 규모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국내은행의 올해 1분기 부실채권은 16조6000억원 규모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올해 1분기 은행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규모가 5년 6개월여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30일 금융감독원 '2025년 3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부실채권 규모는 16조6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조6000억원 늘었다. 이는 이는 2019년 9월 말(16조8000억원) 이후 가장 큰 규모다. 부실채권 비율은 0.59%로 전분기(0.54%)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으며 전년 동기(0.50%)와 비교해도 0.09%포인트 높아졌다. 

세부적으로 기업여신 부실채권은 13조2000억원으로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에서 증가했고 가계여신은 3조1000억원, 신용카드채권은 3000억원으로 각각 확대됐다. 같은 기간 대손충당금 잔액은 28조4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000억원 증가했으나 부실채권 급증으로 적립률은 170.5%로 하락했다.

올해 1분기 신규 부실채권 발생액은 6조원으로 전분기보다 1000억원 규모 줄었지만 전년 동기(4조5000억원) 대비 1조5000억원 늘었다. 특히 중소기업 신규부실은 3조9000억원으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으며 가계여신은 1조4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증가했다. 같은 기간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4조4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조1000억원 감소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0.72%로 전분기보다 0.06%포인트 상승했으며 특히 중소법인과 개인사업자 대출에서 각각 1.08%, 0.60%로 높아졌다. 가계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0.32%로 전분기보다 0.03%포인트, 신용카드채권은 2.01%로 0.20%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 0.40%, 신한은행 0.31%, 우리은행 0.32%로 주요 시중은행 모두 부실채권 비율이 상승했다.

금감원은 "부실채권 증가 등에 따라 대손충당금적립률도 전분기말 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과거 대비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또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라 신용손실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해 부실채권 상·매각 등 은행권의 자산건전성 관리 강화를 지도하는 한편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 유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여성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syeon0213@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