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통제 평가·보상 최우선 원칙 도입

신한투자증권이 내부통제 이슈가 발생하면 전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 차감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연합뉴스
신한투자증권이 내부통제 이슈가 발생하면 전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 차감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연합뉴스

신한투자증권이 내부통제 이슈 발생 시 전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 차감하는 '내부통제 평가·보상 최우선 원칙'을 도입한다고 22일 밝혔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10월 상장지수펀드(ETF) 유동성공급자(LP) 손실 사건을 겪으면서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위기관리 및 정상화 태스크포스(TF)를 구동하면서 올 1분기까지 내부통제, 조직문화, 인적 혁신 등 다양한 과제를 설정하고 추진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앞으로 내부통제 이슈가 발생할 경우, 전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 차감하기로 했다. 이는 특정 임원에게 책임을 한정하던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 내부통제 이슈 발생 시 회사 임원이 공동으로 부담한다는 차원이다. 단 내부통제 관련 임원은 업무 특성상 대상에서 제외된다.

부서 평가도 내부통제 중심 평가가 이뤄진다. 내부통제에 대한 평가비중을 대폭 확대하고 내부통제 미흡 시 평가 점수와 관계없이 성과평가 등급 최저까지 하향이 가능하도록 강화했다.

신상도 강화한다. 내부통제 관련 미들·백 오피스 업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연말 성과우수 부서 및 직원을 포상하는 업적평가 대회에서도 내부통제 플래티넘 부문을 신설했다.

이선훈 신한투자증권 대표는 "이번 비상경영체제에서 내부통제를 평가 및 보상에 직접 연결해 실천 의지를 극대화했다"며 "보이지 않는 잠재적 리스크까지 모두 치유해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계속해서 내부통제 강화 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여성경제신문 서은정 기자 sej@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