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너지 등 3개사 '제3자 배정 유증' 참여
한화에어로, 유증 규모 3.6조→2.3조로 축소
대주주 희생하고 소액주주 이득 보는 구조
"경영권 승계 자금 논란 불식시킬 것" 강조

한화그룹 본사 배경, /한화그룹
한화그룹 본사 배경, /한화그룹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에어로)가 유상증자 규모를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축소한다. 

8일 한화에어로는 유상증자 정정공시를 통해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사가 참여하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방식이 확정, 실행되면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이 대주주로 있는 한화에너지는 1조30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할인 없이 참여하게 된다. 이달 안에 시가 기준으로 한화에어로 주식을 매수하는 구조다. 반면 기존 주주가 참여하는 주주배정 유상증자는 15% 할인된 가격에 주식을 살 수 있다.

이 같은 방식은 한화에너지 대주주가 희생하고 소액주주가 혜택을 받는 구조라는 게 한화 측 설명이다. 시가로 주식 매수가 이뤄지는 만큼 주가 안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지난 2월 한화에어로가 한화에너지에 (한화오션) 지분 매각 대금으로 지급했던 1조3000억원이 다시 한화에어로로 유입된다. 한화 측은 "1조3000억원이 한화에너지 대주주의 경영권 승계 자금으로 쓰이는 것 아니냐는 논란을 불식시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달 김 회장이 김동관 부회장 등 세 아들에게 한화 지분 11.32%를 증여하기로 결정하고 김 부회장 등이 법에 따라 성실하게 세금을 납부하겠다고 밝힌 '정도경영'과 '투명한 승계' 원칙과도 맥을 같이 한다"고 덧붙였다. 

한화에어로는 이날 이사회에 앞서 사전설명회를 열고 유상증자 규모를 기존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한화에너지가 되돌려줄 1조3000억원을 반영한 것으로 현재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손재일 한화에어로 대표는 1조30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대해 "소액주주의 부담을 줄이고 기존 주주의 지분가치 희석을 최소화하면서 전체 3조60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이라며 "시급한 해외 투자 자금 확보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앞서 한화에어로는 유럽 방산업계의 블록화와 글로벌 조선·에너지 기업 간 경쟁 심화 등 국제 정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투자 실기는 곧 도태'라는 판단 아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한 바 있다.

한화에너지도 이사 대상 설명회를 통해 한화오션 지분 매각 대금 1조3000억원을 다시 한화에어로에 투입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가 포함돼 있다. 

이재규 한화에너지 대표는 "1조3000억원 조달 목적은 경영권 승계가 아니라 재무구조 개선과 투자 재원 확보였으며 실제로 일부 자금은 차입금 상환과 투자에 사용됐다"며 "불필요한 승계 논란을 차단하기 위해 한화에어로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