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 인정금액 10만→25만원 확대
1순위 가입자 한 달간 7.5만명↓
정부 유인책 이탈 막기엔 역부족

이달부터 청약 납입 인정 금액이 25만원까지 오르면서 월 납입액 부담에 신규 유입은 줄고 해지 희망자는 늘어나는 추세다. /연합뉴스 
이달부터 청약 납입 인정 금액이 25만원까지 오르면서 월 납입액 부담에 신규 유입은 줄고 해지 희망자는 늘어나는 추세다. /연합뉴스 

청약통장 가입자 수가 한 달 사이 7만5000명 가까이 감소했다. 납입 인정 금액이 40여 년 만에 기존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오르면서 부담을 느낀 이들이 이탈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청약통장 금리를 인상하는 등 유인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해지 속도를 잡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통장·청약저축·예부금 합산) 가입자 수는 총 2671만9542명으로 전월 대비 7만4698명 감소했다. 청약통장 신규 가입자보다 해지자가 더 많아지면서 전체 가입자 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청약통장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지난 9월 23일부터 '주택청약종합저축' 상품 금리를 현행 2.0%~2.8%에서 2.3%~3.1%로 0.3%포인트 인상했다. 또 10월 1일부터는 민영·공공주택 중 한 가지 유형에만 청약이 가능했던 종전 입주자저축(예·부금 및 청약저축)을 모든 유형에 대해 청약이 가능한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런 유인책도 소용이 없었다. 가입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납부 금액도 많은 1순위 가입자들까지 한 달간 7만5725명 이탈했고 종합 저축으로 이동하는 가입자도 4만3528명 감소하며 정부 혜택이 무색한 모습이다.

청약 가점이 낮은 이들 사이에선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푸념이 나오기도 한다. 서울 강남에 거주하는 1인 가구 A씨는 여성경제신문에 "미혼인 데다 결혼 생각도 없어서 1인 가구로 가점에서 밀리니까 사실상 청약통장이 매력이 없다"며 "청약통장을 8년 이상 가지고 있었는데 매달 10만원씩 내던 걸 25만원으로 올리려니 부담이 너무 크다. 그 돈으로 차라리 다른 투자를 해야 하는 건가 고민이 된다"고 말했다.  

전문가 일각에선 정부가 내놓은 혜택이 청약통장 해지 행렬을 막기에 역부족이라고 지적한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정부가 청약통장 해지를 막기 위해 여러 당근을 내놓고 있지만 통장을 깨는 사람들을 달래기는 역부족"이라며 "당첨이 되고 싶은 인기 단지의 청약 경쟁률은 너무 높아 결혼하지 않거나 자녀가 없는 분들이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고 짚었다. 

또 "치솟는 분양가를 보자면 당첨이 되어도 감당이 안 되기 때문에 청약통장을 깨고 그 돈으로 주식이나 코인 투자를 하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