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공시 도입 2026년으로 연기
"CDP 대응 기업은 기후 공시 준비"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를 통해 국민연금 운용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29일 국회 등에 따르면 민 의원은 지난 24일 열린 정무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 앞서 서면질의를 통해 금융위원회가 오는 2026년부터 ESG 정보공개 의무 도입을 목표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앞서 ESG 공시 도입을 2026년 이후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민 의원은 "2023년 말 기준으로 국민연금기금의 56.7%인 587.2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ESG를 고려하는 '책임투자'로 운용된다"며 "국민연금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수익률 제고를 통해 국민의 소중한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ESG 정보가 충분히 제공돼야 한다"고 했다.
민 의원은 국민연금 등 큰손 투자자가 기업가치를 평가할 때 ESG를 제대로 실천하고 있는지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고 했다. 실제로 국민연금은 ESG 공시 조기 의무화가 필요하다고 피력해 왔다.
이어 민 의원은 "ESG 정보는 투자자, 기업, 고객, 소비자, 정부, 시민사회 등 ESG 시장 생태계에서 모든 시장 참여자들이 의존하는 핵심 고리이기 때문에 ESG 공시 의무화가 지체될수록 한국은 ESG 투자에서 갈라파고스화될 가능성이 높고 국민의 노후 자산인 국민연금의 수익률도 그만큼 하락할 수 있다"고 짚었다.
일각에서는 금융위가 공시 도입 일정을 연기하고 구체적인 적용 시기와 대상, 범위를 결정하지 않는 것과 관련해 당국이 기업 측 의견을 지나치게 의식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민 의원은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이 발간한 2023 CDP 보고서에 따르면 자발적으로 ESG 공시를 하는 기업이 전 세계적으로 2만3000개 이상이고 국내 기업은 875개에 이른다"며 "CDP 질의 내용은 IFRS S2 공시 기준과 100% 일치하기 때문에 CDP에 대응하는 기업은 ESG 공시 대응 준비가 돼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