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종합병원 복귀 1%대 그쳐
병상 감축 등 긴축 운영 불가피

의대 증원 정책과 관련해 의정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지난달 26일 대구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대 증원 정책과 관련해 의정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지난달 26일 대구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대 증원에 반대해 집단 이탈한 전공의 중 44.9%가 의료기관에 재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상급종합병원으로 돌아온 전공의는 1%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나 병상 감축을 통한 긴축 운영이 불가피해 보인다.

2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사직 또는 임용 포기 레지던트 9163명 중 44.9%(4111명)는 의료기관에 재취업했다.

종별로 보면 의원에 취업한 사직 레지던트는 2341명으로 전체 재취업자의 56.9%에 달했다. 병원급 의료기관에 취업한 사직 레지던트는 1050명으로 전체 재취업자의 25.5%였다.

반면 전공의 수련병원인 상급종합병원에 재취업한 사직 레지던트는 72명으로, 전체 재취업자 중 1.8%에 불과했다. 종합병원에 재취업한 사직 레지던트는 15.8%에 해당하는 648명이다.

지역별로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사직 레지던트는 경기 지역에 472명이 모여 있어 가장 많다. 이어 서울 313명, 부산 140명, 경남 106명, 대구 101명 순이었다.

진료과목별로는 의원급 의료기관 중 일반의 의원에 취업한 사직 레지던트가 808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내과(347명), 정형외과(199명), 이비인후과(193명), 피부과(168명), 안과 (164명) 순이었다.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제5기(’24~’26) 상급종합병원으로 47개 기관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제5기(’24~’26) 상급종합병원으로 47개 기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