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 국내 산업계를 긴장 상태로 몰아넣고 있다.
우리 산업계의 최대 관심은 특히 일본에 집중돼 있다. 전자, 석유, 자동차, 기계 등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이 겹치는 일본에 대한 관심이 크다.
우리나라는 이미 TPP 12개 회원국 중 일본과 멕시코를 제외한 10개국과 양자 간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상태다. 특히 미국과의 FTA로 일본에 앞서 최대 시장을 확보했다.
한일 간 가장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자동차, 그중에서도 부품업종은 이번 TPP 타결에 따라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는 분야.
주요 시장인 미국에서 TPP 발효 즉시 일본산 자동차 부품의 2.5% 관세가 철폐되기 때문에 우리 자동차 부품업계는 일본 업체와의 경쟁에서 밀릴까봐 우려하고 있다.
일본산 승용차가 미국에 수입될 때 적용되는 관세는 25년 뒤에 철폐되므로 완성차업체는 당장 직접적인 타격을 입지는 않지만 간접적으로 영향권에 들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도요타 등 일본 완성차업체가 부품을 더 싸게 공급받아 원가를 낮춰 경쟁력이 높아지면 미국 시장에서 현대·기아차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역시 일본과 경쟁관계에 있는 섬유업종의 경우 속내가 좀 더 복잡하다. 우리나라의 TPP 가입 여부에 따라 기업 전략이 달라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8위의 섬유 수출국이자 기술력은 세계 4위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해에만 159억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아직 상세내용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섬유의류의 경우 TPP 타결로 관세가 대부분 철폐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TPP 회원국들은 섬유 제품에 대해 높은 관세를 유지하고 있다.
합성 섬유 직물은 일본이 5.3∼6.6%, 미국 8.5∼14.9%, 면직물은 일본 3.7∼5.6%, 미국 6.5∼15.5%에 달한다. 관세 철폐로 섬유의류 수출 강국인 베트남 등이 최대 수혜국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섬유의류 업종에서 가장 중요한 원산지 규정은 미국의 요구대로 원사기준(Yarn Forward)이 채택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2014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대일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215억8500만 달러에 이른다.
우리나라는 일본과의 교역 비중이 큰 화학공업제품, 기계류, 전기전자제품, 철강금속제품 등에서 모두 큰 폭의 적자를 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