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증가 폭 갈수록 커져
'의료 인력 문제' 사유 35.1%

각 응급실에서 진료가 불가능한 질환을 알리는 '진료제한 메시지'가 지난해 대비 1만3407건(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메시지 분석 결과 의료 인력 문제 사유가 35% 이상을 차지했다.
5일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응급실 진료제한 메시지 표출 현황을 제출받아 전수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진료제한 메시지는 응급실 처치 뒤 후속 진료가 불가능한 경우 각 응급실이 전송하는 메시지로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종합 상황판에 표시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공의들이 의대 증원에 반발해 집단 사직한 달인 올해 2월부터 지난달 26일까지 응급실 진료제한 메시지는 총 7만2411건 표출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만3407건(22%) 증가한 수치다. 메시지는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2월은 전년 동월보다 550건(6.3%) 늘어났지만 5월엔 2340건(28.0%), 8월엔 3639건(52.2%)으로 급증했다.
김선민 의원실은 "8월 진료제한 메시지 1만610건을 전수 분석했더니 전문의 부재 등 의료 인력 문제를 사유로 메시지를 표출한 사례가 3721건(35.1%)에 달했다"고 밝혔다. 응급실 업무를 전담할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없는 것도 문제지만 필수의료 진료과에서 전공의 이탈과 전문의 부족으로 배후 진료를 할 수 없어 응급환자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응급실 뺑뺑이'로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김 의원은 "추석 명절에는 사건.사고가 많아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더욱 많아진다"며 "철저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그야말로 대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