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근로자 중 여성 비중 45.7%

국내 여성 임금근로자가 1000만명 선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남녀 임금 격차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에 오르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는 997만6000명으로 196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전년보다 28만2000명 증가했다.
여성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685만3000명으로 68.7%를 차지했다. 임시근로자(280만3000명) 28.1%, 일용근로자(32만명) 3.2% 순이다.
지난해 여성 여성 취업자도 1246만4000명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비중도 43.9%로 역대 최고다. 지난해 여성 자영업자는 전년보다 5만2000명 증가한 171만명으로 전체 자영업자 중 비중은 30.1%로 나타났다.
지난해 남성 취업자와 임금금로자는 1595만2000명, 1185만2000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비중은 역대 가장 낮았다.
남녀 임금은 여전히 격차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달 발간한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 이행보고서 2024'에 따르면 한국 성별 임금 격차는 2022년 기준 31.2%로 OECD 35개 회원국 중 1위였다.
이는 OECD 평균(12.1%)의 2.6배다. 2위는 이스라엘이지만 임금 격차는 25.4% 수준이고 다음으로 일본 21.3%, 미국 17.0% 등이다. 임금 격차 비율이 낮은 국가는 노르웨이(4.5%), 덴마크(5.6%), 이탈리아(5.7%) 등이며 콜롬비아가 1.9%로 최저를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