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폭스바겐 그룹의 디젤차량 배출가스 조작 파문이 확산하는 가운데 국내에서 최대 10만여대에 대해 리콜이 이뤄질 전망이다.
폴크스바겐 그룹이 조만간 전세계적으로 최대 1천100만대에 대해 리콜을 단행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아우디폭스바겐 코리아는 지난달 30일 환경부에 국내 판매 현황, 조작 장치에 대한 구체적 내용, 시정 조치 계획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정 조치라는 것은 문제가 되는 차량에 대해 리콜 등을 통해 보상한다는 의미다.
폭스바겐 그룹 본사는 오는 7일까지 독일 당국에 사태 수습 방안을 제출하고 허가를 받은 뒤 차량 수리에 착수할 계획이다.
폭스바겐 그룹은 결함 차량 차주가 정비소를 찾아 수리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각국 언어로 웹사이트를 개설해 수리 관련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또한 내주께 고객에게 구체적인 리콜 계획이 공지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의 경우 폭스바겐그룹의 배출가스 조작 의심 차량이 13만여대 가까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모두가 리콜 대상이 될 수 있으나 세부 분류 과정에서 일부 제외될 수 있어 최대 10만여대가 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수입차 배출가스 관련 리콜로는 역대 최대 규모가 된다.
한국수입차협회 통계를 보면 폭스바겐 브랜드는 조작 의심 차량이 이번에 미국에서 문제 차종으로 꼽힌 골프와 제타, 비틀, 파사트 외에도 티구안을 비롯해 폴로, CC, 시로코까지 8개 차종 9만2천여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미국에서 현대차와 기아차가 연비 과장으로 적발돼 대규모 리콜을 했을 때 소비자들에게 직불카드를 주는 형태로 보상해준 바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리콜을 했는데 판매 당시 조건과 맞지 않을 경우 그만큼 추가 보상을 해야할 것"이라면서 "이럴 경우 업체로선 대규모 손실이 불가피하게 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