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일하는 의사 비중, 수년새 크게 높아져

서울의 한 의원 밀집 건물의 간판. /연합뉴스
서울의 한 의원 밀집 건물의 간판. /연합뉴스

전국 현직 의사 중 64%가 서울시와 경기도 등 수도권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인프라 수도권 쏠림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의료정책연구원이 공개한 전국 의사 대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의사 인력 총 비율은 2016년 49.4%에서 2020년 64.2%로 늘었다. 

2020년 기준 6340명의 조사 대상 의사 중 38.1%는 서울에서 근무한다고 답했다. 직전 조사인 2016년(당시 응답자 8499명)에는 서울 근무 의사가 전체의 26.4%였는데, 4년 사이 11.7%포인트(p)나 높아진 것이다.

경기권 근무 의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18.4%였다가 2020년 21.1%로 높아졌다. 같은 기간 인천 역시 4.7%에서 5.0%로 높아졌다.

수도권 지역을 제외하고 조사 대상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근무 의사 비중이 1%p 넘게 커진 곳은 강원(2.9% → 5.0%)이 유일했다.

의사 인력 유출이 가장 심했던 곳은 부산이었다. 부산은 2016년에 근무 의사 비중이 7.9%로 서울과 경기 다음으로 컸다. 하지만 2020년(4.6%)에는 비중이 크게 줄어 인천에 밀렸다. 같은 경상권인 대구(-2.8%p)에서도 감소 폭이 3%에 가까웠고 경남·경북은 나란히 1.8%p씩 줄었다.

광주(2.3%·이하 2020년), 전북(2.2%), 울산(0.9%) 등에서도 감소 폭이 1%p를 넘었다. 특히 인구 100만이 넘는 광역시인 울산은 이 기간에 근무 의사 비중이 2.0%에서 0.9%로 줄어 현지 근무 의사가 전체 100명 중 1명꼴도 되지 않았다.

의사들의 근무 지역을 연령대로 나눠 보면 30∼40대에서 서울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컸다. 2020년 조사에서 서울에 근무 중이라고 답한 비율이 40%를 넘는 연령대는 30대(40.7%)와 40대(40.6%)뿐이었다.

여기에는 자녀 교육 여건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설문 참여자 46.0%가 미취학 아동과 학령기 자녀가 있다고 답했다.

정부는 의료 인력의 수도권 쏠림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의대 정원 확대를 위한 수요조사를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지역의대를 신설하는 방안도 지속해서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달 26일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의사들이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여건을 함께 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